ECB 발권력 동원전까지 경고 지속 메시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5일(현지시간)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회원국 전체의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증권사들은 6일 이를 재정 위기를 서둘러 해결하라는 압박이라고 분석했다.

독일과 프랑스의 정상이 이날 만나 유럽 재정위기 해결과 관련된 논의를 했고 오는 9일 유럽연합(EU) 정상회의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이번 S&P의 경고가 나왔다는 점을 이들 증권사는 먼저 주목했다.

현대증권 이상재 투자전략부장은 "S&P의 유로존 신용등급 강등 경고는 유럽 정책당국이 재정위기 해소를 위해 재정통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지적"이라며 "유럽중앙은행(ECB)의 발권력 동원으로 위기를 막을 방어막을 구축하기 전에는 신용평가사의 경고가 계속될 수 있다는 메시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이번 경고가 새로운 악재라기보다는 기존의 상황을 반영한 결과라서 유럽 정책당국이 강력한 해법을 내놓도록 압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키움증권 마주옥 투자전략팀장은 "최고등급인 국가들의 신용등급을 다 내리면 상대적으로 등급의 의미가 적어지고 여전히 최고 수준 등급인 셈"이라며 "실제로 유로존 17개국 등급을 한꺼번에 조정한다기보다는 재정위기를 빨리 해결하라는 압박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도 "아직 유로존 전체의 신용등급 강등이 발생한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주시하고 있다"며 "당장 특별한 액션을 취할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S&P의 경고가 나오기 직전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회담을 열어 구속력 있는 재정통합을 골자로 하는 'EU 안정·성장 협약' 개정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EU 협약 개정안은 재정 균형을 이루지 못하거나 국내총생산(GDP)의 3% 이내로 정한 재정적자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국가에 대해 자동적으로 제재를 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