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도상 미비와 업계와 당국의 이해가 맞물리면서 `햇살론` 실적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햇살론`을 다시 부활시키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한 지 윤경원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햇살론 출시로 저신용자들의 숨통이 트였다지만, 아직도 대부업체와 캐피탈사 등으로부터 고금리 대출을 받아 허덕이고 있는 사람들은 많습니다. 이런 고금리대출을 햇살론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6개월 동안 연체한 사실이 없고, 채무상환액이 소득의 40%를 넘어선 안됩니다. 햇살론을 취급하는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의 대출 담당자들은 고금리채무자들이 좀 더 쉽게 햇살론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또 같은 업권내에서, 예를 들면 저축은행의 고금리대출을 다른 저축은행이 햇살론으로 전환할 수 없고,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은 아직 전환대상이 아닙니다. 인터뷰>햇살론 취급 금융기관 관계자(음성변조) "손님이 왔는데 기존 대부업권의 고금리를 쓰고 있는 다른 저축은행 걸 저금리로 갈아타고 싶다고 말씀하시는데 저희가 못 해드리는거죠" 까다로운 햇살론 신청절차도 고민꺼리입니다. 대출신청서 말고도 보증신청서와 약정서 등 징구서류가 너무 많아 복잡한데다, 생계에 매달리느라 바쁜 신청자들을 위해 접수시간 조정이나 전담인력 배치 등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특히 햇살론 사업자대출의 경우에는 신청자들이 사업자등록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 현장방문이 필수적인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아예 취급을 꺼리고 있습니다. 금융당국도 이같은 현실을 고려해 보증비율이나 대출요건 등 `햇살론` 제도 전반에 대한 점검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당장 실적을 올리기 위해 무리하게 조건을 완화할 생각은 없지만 대환대출 같은 경우는 좀 더 유연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금융위기 이후 고금리의 늪에 빠진 저신용자들을 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햇살론이 본래의 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업계와 당국 모두 머리를 맞대야 할 때입니다. WOW-TV NEWS 윤경원입니다. 윤경원기자 ykwon5@wowtv.co.kr 한국경제TV 주요뉴스 ㆍ김나영,"첫 키스 하다 `돌`맞았다" 황당 고백 `눈길` ㆍ국내 유명인사 아들, 美서 마약복용 사망 ㆍ`달인` 김병만, 미모의 예비신부는? ㆍ[포토]생후 8개월 아기 외모를 한 31세 브라질 여성 충격 ㆍ[포토]`독도는 우리땅` 개사해 `히라가나송` 제작 조혜련, 공식사과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경원기자 ykwon5@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