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생수등 생활필수품이 판매점에 따라 최대 6배 이상 비싸 서민들에게 큰 부담을 주는 것으로 4일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이 작성한 8월 생필품 가격분석보고서에 따르면 편의점과 마트, 전통시장, 동네 점포 등 165개 판매점의 생필품 101개 품목 중 최저가격과 최고가격의 차이가 두 배 이상 벌어진 품목이 43개에 달했다. 같은 제품이라도 판매처에 따라 가격 차이가 매우 많이 벌어지는 품목은 즉석 덮밥, 즉석밥, 아이스크림, 버터, 참치 캔, 된장, 소금, 식용유, 생수, 생리대였다. 이들 제품은 주로 편의점에서 많이 판매되는 것이다. 즉 편의점이 소비자들이 손쉽게 찾을 수 있다는 이점을 이용해 주요 생필품을 대형마트보다 비싸게 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대형마트에서는 생수 `농심 삼다수` 500㎖가 350원이지만 훼미리마트와 GS25는 850원을 받아 무려 500원이나 차이가 난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각종 유통, 판매, 유지 비용이 고려된 것이라고 항변하고 있으나, 똑같은 생필품 가격이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소비자원이 조사한 생필품 중 가격 차이가 가장 큰 제품은 목욕용품 `해피바스 에센스 로맨틱 바디워시`였다. 이 제품의 평균 가격은 8천19원인데 최저 가격이 2천원, 최고 가격이 1만2천700원으로 6.3배 이상 차이가 있었다. 같은 제품인데 다른 곳에서 판다는 이유로 무려 1만원 이상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소금 제품인 `꽃소금`은 최저 가격이 500원인 반면 최고 가격은 2천원으로 4배 차이가 났다. 3배 이상 가격 차이가 난 제품은 `페리오A 묶음`(최저 2천원, 최고 6천900원), `두보레 장미비누`(최저 1천700원, 최고 5천300원), `소와나무 모닝버터 무염`(최저 1천90원, 최고 3천970원), `백설정백당`(최저 1천600원, 최고 5천550원), `태양초 골드고추장`(최저 2천920원, 최고 1만600원), `에너자이저AA 2입`(최저 1천원, 최고 3천180원)이었다. 가격 차이가 2배 이상 발생한 제품은 주로 세탁ㆍ주방ㆍ가사용품, 이ㆍ미용품, 과자ㆍ빙과류에 집중됐다. 아이스크림은 `부라보콘`, `월드콘`, `국화빵`, `참붕어 싸만코`, `메로나`, 감자칩은 `포카칩 오리지날`, 초코파이는 `가나파이 오리지날 12개입`이 이에 해당했다. 인터넷뉴스팀 한국경제TV 주요뉴스 ㆍ`맹모삼천지교?`..우리나라는 갈 데도 없다 ㆍ "어쩌라고..집값은 빠지는데, 대출은 오르고.." ㆍ"서울대 나와야 임원된다고? 천만의 말씀!" ㆍ[포토]베일에 싸인 한예슬 남자친구가 종편대주주? ㆍ[포토]SBS "짝" 출연녀 실체는... 천사? vs 불륜녀?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