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식품에서 이물질이 발견되더라도 절반 가량은 어떤 단계에서 왜 들어간 것인지 밝혀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18일 발표한 ‘상반기 이물 보고 및 조사 현황’에 따르면 지난 1~6월 접수된 식품 이물질 발견 사례는 3148건으로,지난해 같은 기간의 4217건보다 약 25% 줄었다.

이 중 이물질이 섞여 들어간 원인이 밝혀진 것은 2973건이었다.제조 단계가 11.7%(348건),소비 단계가 6.1%(181건),유통 단계가 3.5%(105건)이었다.그러나 47.8%(1420건)은 끝내 이물질의 유입 경로가 확인되지 않았다.증거를 잃어버려 조사가 불가능했던 경우와 이물질이 아닌데 잘못 신고한 경우는 각각 6.0%(178건),24.4%(725건)였다.

식약청 관계자는 “인과 관계가 분명하지 않은 한 유리조각,금속,플라스틱,벌레 등은 식품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어느 단계에서도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규명이 어려운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물질 종류는 벌레가 30.4%로 가장 많았고 금속(11.0%),곰팡이(6.3%),플라스틱(6.1%),유리(1.3%) 순이었다.문제가 된 식품을 유형별로 보면 면류(18%)가 1위였고 과자류(11.2%),커피(8.0%),빵·떡류(6.7%),음료(6.3%) 등이 뒤를 이었다.

식약청은 작년부터 이물질을 발견한 식품업체는 반드시 당국에 보고하도록 의무화됨에 따라 기업의 자구책이 강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