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937兆…저소득층 부채, 年소득의 6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전체 소득대비 부채비율 146% 사상 최고
이자만 갚는 비율도 78%…'가계發 대란' 우려
9억 초과 집 담보대출자 절반, 소득의 600% 넘어
이자만 갚는 비율도 78%…'가계發 대란' 우려
9억 초과 집 담보대출자 절반, 소득의 600% 넘어
'부채 규모는 계속 커지는데 상환은 미루기만 한다. 주택 가격이 하락하면 고액자산가 계층도 위험해질 수 있다. '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국내 가계부채 상황을 이렇게 진단했다.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가 금융시스템 안정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금리 인상이나 주택가격 하락시 가계 채무부담 능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급증
지난해 말 가계부채 잔액은 93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1172조8000억원의 80%다. 증가율은 2009년(7.3%)보다 높아졌다. 지난해 수준의 증가율이 이어진다면 올해 가계부채 잔액은 10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지난해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46%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120%) 일본(110.7%)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영국은 2009년을 기준으로 이 비율이 161.7%로 한국보다 높았지만 2007년 170%를 정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6년 134%에서 2007년 136%,2008년 139%,2009년 143% 등으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계층별로 들여다보면 가계부채의 심각성이 더 잘 드러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 우리 신한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중 소득 하위 20%인 1분위 대출자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608%에 달했다. 이 계층은 대출 연체율도 0.56%로 다른 계층보다 높다.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135%였다.
금융회사별로는 은행보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빠르다. 소득이 적고 신용도가 낮은 서민층의 빚이 빠르게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등 서민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162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7%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 대출은 409조5000억원에서 431조5000억원으로 5.4% 증가했다.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카드사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17조4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29.9% 급증했다.
◆주택담보대출 78%가 '이자만 납입'
대출 상환구조도 취약하다. 지난해 말 4대 시중은행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중 원금을 갚는 대출 비중은 21.6%에 불과했다. 원금분할상환 대출이지만 거치기간이 적용 중인 대출이 41.1%,만기일시상환 대출이 37.3%였다.
강태수 한은 금융안정분석국장은 "금융 상황이 불안해지면 이자만 납입하는 대출의 거치기간이나 만기 연장이 어려워져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고가주택을 담보로 한 주택담보대출도 부실해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분석 결과 지난해 말 4대 시중은행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중 담보가액이 9억원을 넘는 대출자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360%에 달했다. 담보가액이 3억원 이하인 주택담보대출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190%로 낮은 편이었다. 9억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자 중 48.5%는 소득의 600%가 넘는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고가의 대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감소해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며 "고가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은 가계가 취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국내 가계부채 상황을 이렇게 진단했다.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가 금융시스템 안정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금리 인상이나 주택가격 하락시 가계 채무부담 능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급증
지난해 말 가계부채 잔액은 93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1172조8000억원의 80%다. 증가율은 2009년(7.3%)보다 높아졌다. 지난해 수준의 증가율이 이어진다면 올해 가계부채 잔액은 10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지난해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46%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120%) 일본(110.7%)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영국은 2009년을 기준으로 이 비율이 161.7%로 한국보다 높았지만 2007년 170%를 정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6년 134%에서 2007년 136%,2008년 139%,2009년 143% 등으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계층별로 들여다보면 가계부채의 심각성이 더 잘 드러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 우리 신한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중 소득 하위 20%인 1분위 대출자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608%에 달했다. 이 계층은 대출 연체율도 0.56%로 다른 계층보다 높다.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135%였다.
금융회사별로는 은행보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빠르다. 소득이 적고 신용도가 낮은 서민층의 빚이 빠르게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등 서민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162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7%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 대출은 409조5000억원에서 431조5000억원으로 5.4% 증가했다.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카드사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17조4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29.9% 급증했다.
◆주택담보대출 78%가 '이자만 납입'
대출 상환구조도 취약하다. 지난해 말 4대 시중은행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중 원금을 갚는 대출 비중은 21.6%에 불과했다. 원금분할상환 대출이지만 거치기간이 적용 중인 대출이 41.1%,만기일시상환 대출이 37.3%였다.
강태수 한은 금융안정분석국장은 "금융 상황이 불안해지면 이자만 납입하는 대출의 거치기간이나 만기 연장이 어려워져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고가주택을 담보로 한 주택담보대출도 부실해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분석 결과 지난해 말 4대 시중은행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중 담보가액이 9억원을 넘는 대출자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360%에 달했다. 담보가액이 3억원 이하인 주택담보대출의 소득 대비 대출액은 190%로 낮은 편이었다. 9억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자 중 48.5%는 소득의 600%가 넘는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고가의 대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감소해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며 "고가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은 가계가 취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