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회의 열려..국제공항 거리 등 심사항목 확정 예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이하 과학벨트위)는 13일 오전 정부종합청사에서 2차 회의를 열고 과학벨트의 핵심 요소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한 곳에 둔다는 원칙을 확정·공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연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연구단 전체 50개 중 절반인 25개가 속한 '본원'을 하나의 '거점지구' 안에 묶는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2009년 1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심의·확정한 과학벨트종합계획안의 기본 구상과 같은 내용이다.

만약 이런 원칙이 확정되면, 일단 가속기와 연구원 본원을 지역적으로 분리하거나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50개 연구단을 3개 지역에 나눠주자는 식의 '분산 배치론'은 실현 가능성이 없어지는 셈이다.

아울러 이날 회의를 통해 위원회는 심사평가 계획안을 논의하고 세부심사 항목 등을 정할 예정이다.

세부 심사항목은 국제과학비즈니스특별법(이하 과학벨트법) 제9조에 명시된 5가지 입지 요건별로 3~5개씩 설정됐다.

위원회 논의과정에서 항목이 추가되거나 빠질 가능성이 있으나, 대략 세부 심사항목 수는 20개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연구·산업 기반 구축 및 집적 정도 또는 가능성'의 경우 △지식산업 비중 △전체 산업의 활력도 등이 심사항목에 포함되고, '우수한 정주환경 조성 정도 또는 가능성' 부문에서는 △의료 △교육 △문화환경 등을 고루 따진다.

'부지확보 용이성' 측면은 △부지개발 상태 △부지 가격 등을 주요 기준으로 삼고, '접근성'의 경우 원안대로라면 △국제공항과의 거리 △전국 타 시·군과의 거리 등이 항목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최근 일본 대지진과 방사능 유출 사고로 주목받는 '지반 안정성 및 재해 안전성' 부문에 대해서는 별도 세부 심사항목을 두지 않고 '적격-부적격'만 평가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지반 및 재해안전성' 요소는 사실 거점지구에 들어서는 중이온가속기의 부지 안정성에 국한된 문제이기 때문에, 전체 과학벨트에 대해 관련 세부 심사항목까지 둘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각 세부 심사항목별 가중치는 독립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과학벨트위가 아닌 민간 전문가들로 외부 별도 위원회를 구성, 논의·결정하게 된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