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이어 두 번째 열린 '북한 경제 글로벌포럼 2011'에 쏠린 관심은 뜨거웠다. 이날 포럼에는 국내외 주요 인사 400여명이 참석,행사장을 가득 메웠다. 대북 사업 관계자들이 특히 많았고 통일부 법제처 무역위원회 등 정 · 관계와 북한 및 동북아 지역 전문가들도 다수 참가했다.

◆…VIP 행사장은 북한 전문가들의 '사랑방'이었다. 이들은 반갑게 악수를 하며 북한 후계 구도 등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이날 북한에서 열리는 최고인민회의 결과에 대해 많은 참가자들이 서로의 견해를 확인했다.

참가자들은 이번 포럼이 "북한 경제에 관한 시의적절한 포럼"이라고 입을 모았다.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은 "북한은 늘 안보에만,남한은 경제에만 집중한다는 것이 남북 관계의 문제"라며 "이런 비대칭을 극복하고 타협점을 찾기를 바라는데,이를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아 포럼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임병수 법제처 차장은 "앞으로 통일에 대비해 남북 법제를 통합하는 큰 틀을 마련하고 있다"며 "헌법의 통합부터 통합 작업의 여러 가지 방식까지 다양한 그림을 그려보고 있는데,북한 경제 글로벌포럼 소식을 듣고 작업에 도움을 받으려 찾았다"고 말했다.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은 축사를 통해 직설적인 논조로 통일비용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자세히 펼쳐보여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천 수석은 "2400만 동족의 인간 존엄성을 회복하도록 하는 사회통합 비용은 경제적 비용에서 생각할 문제는 아니다"면서도 "금융시장의 인수 · 합병(M&A) 관점에서 북한이라는 부실 기업을 가지고 얼마나 자산 가치가 늘어나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 수석은 "통일기금을 반드시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국제사회에 한국 정부의 재정 건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통일 후) 1년이라도 버틸 수 있으려면 수십조원의 통일기금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찬장에서는 김정은 후계 구도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정홍원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은 "김정은 후계 구도가 확립되더라도 억압으로 유지돼 온 북한정권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화폐개혁 이후에 숙청이 휘몰아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통일 비용에 관한 이야기도 자연스레 곳곳에서 등장했다.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통일세 등 비용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없지 않으냐"며 재계의 입장을 대변했다.

김희경/김우섭/정성택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