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지난해 31개 성 · 직할시 · 자치구의 국내총생산(GDP) 합계가 국가 GDP를 3조5000억위안(594조2700억원)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정부의 실적 부풀리기 논란이 재연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 사이트인 중국망은 31개 지방정부의 작년 GDP 합계는 총 43조2738억위안으로 국가통계국이 공식 발표한 작년 중국 GDP 39조7983억위안보다 3조5000억위안(8.8%) 많았다고 4일 보도했다.

타오란 런민대 경제학원 교수는 "여러 지역에 지사를 두고 영업하는 대기업의 실적을 본사가 위치한 지역의 지방정부와 각 지점 소재 지방정부가 중복 계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부실 통계는 뿌리 깊은 문제다. 리커창 부총리가 "GDP 통계는 인공적으로 조작된 것이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고 말한 사실이 지난해 12월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미국 외교전문을 통해 공개되기도 했다. 2007년 3월 당시 랴오닝성 당서기였던 리커창 부총리는 클라크 랜트 주중 미국 대사와 만찬에서 랴오닝성 경제에 대해 얘기하다가 "전기 소비,화물운송량,은행 대출 세 가지 숫자를 통해 경제성장 속도를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숫자들,특히 GDP 통계는 '참고용일 뿐'"이라고 말했다고 주중 미국대사관의 그해 3월19일 전문은 기록했다. 중국의 부실 통계는 정확한 정책 집행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해부터 소비자물가지수(CPI) 산정 때 식품 가격 비중을 낮추면서 물가를 실제보다 낮아 보이게 하기 위해서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올해 CPI 산정 기준과 부동산 통계 기준을 바꾼 것은 경제 현실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중국 인민은행은 통화공급량을 더 잘 측정하기 위해 보험사의 투자자산 등을 추가하는 식으로 총통화(M2) 범위를 확대했다고 중국 경제 사이트인 차이신이 3일 보도했다.

한편 리자오싱(李肇星) 전인대 대변인은 4일 기자회견에서 올해 국방예산을 12.7% 증액한 6011억위안으로 잡았다며 국방비 지출은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써 중국의 국방예산 증가율은 지난해 7.5%를 크게 웃돌며 두 자릿수로 되돌아갔다. 서방에서는 중국의 군사비 통계가 축소 은폐돼왔다고 지적해왔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