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원 · 달러 환율 변동성이 아시아 주요국 통화 가운데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10년 중 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원 · 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률은 평균 0.6%였다. 이 같은 변동률은 2008년 0.99%,2009년 0.71%보다는 낮아진 수준이다.

하지만 일본 엔화(0.48%),싱가포르 달러화(0.28%),태국 바트화(0.16%) 등 다른 아시아 주요 국가 통화보다는 높았다. 또 재정위기가 닥쳤던 유로존의 유로화(0.58%)보다도 컸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포격 사건 등 북한 관련 위험이 불거지면서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변동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원 · 달러 환율은 그러나 호주 달러화(0.67%),브라질 헤알화(0.63%),폴란드 즐로티화(0.93%),헝가리 포린트화(0.94%) 등에 비해선 변동폭이 작았다.

지난해 말 원 · 달러 환율 종가는 1134원80전으로 2009년 말에 비해 29원70전 하락해 원화가치는 2.6% 절상됐다. 절상률로는 호주 달러화(14.0%),대만 달러화(9.7%),싱가포르 달러화(9.3%),말레이시아 링기트화(11.8%),인도네시아 루피아화(4.6%) 등보다 낮았다. 그러나 지난해 연평균 환율은 1156원으로 절상률이 10.4%에 이르렀다.

지난해 국내 기업의 선물환 순매도 규모는 331억달러로 전년보다 1.6배가량 증가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