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 국회 예산결산특위 출석해 답변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2일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 파문과 관련, "작년에 우리 정부가 그랜드바겐(일괄타결)을 제안한 배경 중 하나가 농축우라늄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위 종합정책질의에 출석,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가 한.미 정부의 대북정책에 허점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다"는 지적에 "이는 우리 정부가 알고 미국과 공조하던 부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9.19 공동성명에는 농축우라늄 문제가 들어 있지 않아 새롭게 판을 짜야 한다고 판단해서 그렇게 제안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북한이 농축우라늄 제조를 위해 자재를 들여온다는 사실 등을 죽 주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북한이 농축우라늄으로 핵무기를 만들 경우 대응 방안에 대해 "필요하면 타격할 능력을 갖추려고 노력 중"이라면서 `정밀한 타격'에 대해서는 "재래식 전력이나 미사일 공격 등 모든 수단을 갖고 대비하는 게 확장억제인데, 미국도 모든 무기를 갖고 (한국을) 미국과 똑같이 방어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 적자 국채 발행 전망에 대해 "올해보다 많이 줄여 22조원 내외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