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PF 고정이하여신비율 18.02%..연체율 5.85%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와 기업 구조조정 추진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이 2%대를 넘어섰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2.32%로 6월말(1.94%)보다 0.38%포인트나 상승하면서 2004년 3월말(2.5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실채권비율은 2008년 6월말 0.70%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9월말 0.82%로 상승한 뒤 올해초까지는 꾸준하게 1%대를 유지해왔다.

9월말 기준 부실채권 잔액은 30조3천억원으로 6월말(25조6천억원)보다 4조7천억원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부동산 PF 부실대출 규모는 3조4천억원으로 72%를 차지했다.

◇부실채권 전방위 증가
부동산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기업과 가계 등 거의 모든 부문의 부실채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은 3.19%로 6월말(2.66%)에 비해 0.53%포인트가 증가했다.

이 가운데 부동산 PF 대출이 집중돼있는 중소기업의 부실채권 비율은 3.80%로 6월말(3.05%)에 비해 0.75%포인트나 늘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60%로 전분기말(0.50%) 대비 0.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0.51%로 전분기말(0.37%) 대비 0.14%포인트가 상승했다.

은행권이 부동산 PF 대출채권 정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42조6천억원으로 전분기말(44조9천억원)에 비해 2조3천억원이 감소했다.

그러나 부동산 PF의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6월말 9.60%에서 9월말 18.02%로 급상승했다.

금액기준으로도 고정이하 여신 규모는 3개월만에 4조3천억원에서 7조7천억원으로 불어났다.

PF 대출 연체율은 5.85%로 전분기말(2.94%)에 비해 2.91%포인트가 늘어났다.

올해 3분기의 신규부실 발생규모는 9조7천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8조3천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계(1조2천억원)와 신용카드(2천억원) 순이었다.

금감원은 은행권 부실채권이 급증한 것은 부동산 경기 부진과 기업 구조조정 추진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6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건설사 다수가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됨에 따라 이들 건설사가 시공사로 참여하는 PF 사업장을 중심으로 사업성이 빠르게 악화했다는 것.
또 은행권이 부동산 PF 대출 건전성 분류 강화 등 적극적으로 잠재부실을 조기인식한 것도 부실채권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감독당국 감독강화 방침
부실채권 비율이 급증했지만 현재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고려할 때 은행 자체적으로 정리가 가능한 수준이라는게 금감원의 시각이다.

PF 대출규모가 은행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에 불과하고, 은행들도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았다는 것.
그러나 금감원은 금리상승 등 외부요인에 따라 건전성이 급속도로 악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감축토록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일단 금감원은 은행별로 올해말까지 부실채권 감축계획을 마련해 적극 추진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감독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부동산 PF 부실대출에 대해선 올해 안에 전액 정리절차가 시작될 수 있도록 별도의 부실채권 정리계획을 마련토록 할 계획이다.

부동산 PF대출 건전성 분류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충분한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했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또 은행들과 부동산 PF 부실채권정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사업장 구조조정을 통한 PF 대출정리를 추진하고, 여러 은행이 참여하는 PF 사업장의 효율적인 정리방안도 모색키로 했다.

이와 함께 현행 PF대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제회계기준(IFRS) 시스템 아래서 현행 PF대출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금융기법도 연구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하라는 방침을 전달했지만, 건설사 워크아웃으로 인한 부실채권은 매각이 쉽지 않기 때문에 목표치를 달성하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부실채권에 대한 감독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