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 시대 제테크 전략] "금리 연내 인상 가능성 낮아"…이머징 채권·해외 부동산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중금리보다 수익률 1.5배
CP·ABCP·우량 회사채 '인기'
CP·ABCP·우량 회사채 '인기'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졌다. 다음 달에는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가 열린다. 금리를 올리기 쉽지 않다. 12월에는 지금까지 단 한차례도 금리 인상을 한 적이 없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환율전쟁도 한창이다.
따라서 한은이 연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다. 이런 관측을 바탕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한 지난 14일 채권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 3.08%로 전날보다 20bp(1bp=0.01%포인트) 떨어지며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신흥국 채권시장으로 자금 밀물
시장금리 하락세는 외국인들의 국내 채권 매수세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금리를 동결한 14일에도 외국인들은 국고채와 통화안정증권(통안채)을 34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특히 3년 이상 장기물보다 단기물에 매수세가 집중됐다. 지난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아 하락 여지가 크다고 본 투자자들이 차익을 노리고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현상은 비단 한국에서만 벌어지는 게 아니다. 미 · 중 간 환율전쟁으로 달러값이 떨어지면서 신흥국 채권시장으로 자금이 몰려들고 있는 것.수익률도 나쁘지 않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피델리티에 따르면 이머징마켓 채권은 과거 14년간 연평균 수익률이 12.2%에 달하는 등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머징마켓 채권지수도 2008년을 제외한 최근 10년간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했다. 9년 가운데 6년은 연간 수익률이 10% 이상이었다. ◆해외 부동산 취득 다시 늘어나
기획재정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내국인이 취득한 해외 부동산은 2억2300만달러에 달했다. 이 가운데 개인 투자자 비중이 96%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하기 전 83.3%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뛰었다. 이는 국내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개인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해외 부동산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득 사유도 단순 투자 목적이 1억5200만달러로 실주거 용도(7100만달러)의 2배를 넘어섰다.
최근 원 · 달러 환율 하락세에다 향후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 등이 해외 부동산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띠는 배경으로 꼽힌다. 앞으로 환율이 올라가는 시점을 골라 매각할 경우 상당한 환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기업어음,우량 회사채 인기
단기로 돈을 굴릴 만한 투자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기업어음(CP)이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우량 회사채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시중은행 예금 금리보다 1.5배가량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원금에 손실이 날 가능성이 있어 신용등급이 높고 우량한 회사를 골라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타격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ABCP 등은 피하는 게 낫다.
배두원 신한은행 골드PB센터장은 이와 관련,"트리플A 등급 이상 우량 회사채 또는 CP는 은행 금리보다 0.2~0.3%포인트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데도 1억원 이상씩 돈을 넣는 고객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ELD · ELS · ETF 등 복합상품도 관심
주가연동예금(ELD)은 대부분 원금이 보장되면서 증시 상황에 따라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다. 장기화되고 있는 초저금리 시대에 원금 보장과 고수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만기가 1년 안팎으로 짧고 미리 계약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연 10% 이상 고수익을 챙길 수 있다. 상황이 여의치 않더라도 최소한 원금은 보장받는다.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코스피지수 등에 따라 최고 연 12~15% 정도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 아무리 최악의 시나리오라도 원금은 보장되기 때문에 손실 위험은 없다.
스텝다운형 ELS도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일 때 유용한 투자 상품이다. 기초자산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등락폭이 작은 블루칩이나 코스피지수 등을 위주로 한 ELS에 가입하는 게 유리하다. 다만 원금에 손실이 날 수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따라서 한은이 연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다. 이런 관측을 바탕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한 지난 14일 채권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 3.08%로 전날보다 20bp(1bp=0.01%포인트) 떨어지며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신흥국 채권시장으로 자금 밀물
시장금리 하락세는 외국인들의 국내 채권 매수세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금리를 동결한 14일에도 외국인들은 국고채와 통화안정증권(통안채)을 34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특히 3년 이상 장기물보다 단기물에 매수세가 집중됐다. 지난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아 하락 여지가 크다고 본 투자자들이 차익을 노리고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현상은 비단 한국에서만 벌어지는 게 아니다. 미 · 중 간 환율전쟁으로 달러값이 떨어지면서 신흥국 채권시장으로 자금이 몰려들고 있는 것.수익률도 나쁘지 않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피델리티에 따르면 이머징마켓 채권은 과거 14년간 연평균 수익률이 12.2%에 달하는 등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머징마켓 채권지수도 2008년을 제외한 최근 10년간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했다. 9년 가운데 6년은 연간 수익률이 10% 이상이었다. ◆해외 부동산 취득 다시 늘어나
기획재정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내국인이 취득한 해외 부동산은 2억2300만달러에 달했다. 이 가운데 개인 투자자 비중이 96%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하기 전 83.3%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뛰었다. 이는 국내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개인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해외 부동산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득 사유도 단순 투자 목적이 1억5200만달러로 실주거 용도(7100만달러)의 2배를 넘어섰다.
최근 원 · 달러 환율 하락세에다 향후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 등이 해외 부동산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띠는 배경으로 꼽힌다. 앞으로 환율이 올라가는 시점을 골라 매각할 경우 상당한 환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기업어음,우량 회사채 인기
단기로 돈을 굴릴 만한 투자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기업어음(CP)이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우량 회사채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시중은행 예금 금리보다 1.5배가량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원금에 손실이 날 가능성이 있어 신용등급이 높고 우량한 회사를 골라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타격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ABCP 등은 피하는 게 낫다.
배두원 신한은행 골드PB센터장은 이와 관련,"트리플A 등급 이상 우량 회사채 또는 CP는 은행 금리보다 0.2~0.3%포인트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데도 1억원 이상씩 돈을 넣는 고객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ELD · ELS · ETF 등 복합상품도 관심
주가연동예금(ELD)은 대부분 원금이 보장되면서 증시 상황에 따라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다. 장기화되고 있는 초저금리 시대에 원금 보장과 고수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만기가 1년 안팎으로 짧고 미리 계약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연 10% 이상 고수익을 챙길 수 있다. 상황이 여의치 않더라도 최소한 원금은 보장받는다.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코스피지수 등에 따라 최고 연 12~15% 정도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 아무리 최악의 시나리오라도 원금은 보장되기 때문에 손실 위험은 없다.
스텝다운형 ELS도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일 때 유용한 투자 상품이다. 기초자산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등락폭이 작은 블루칩이나 코스피지수 등을 위주로 한 ELS에 가입하는 게 유리하다. 다만 원금에 손실이 날 수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