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지난해 재외공관에서 근무하는 행정원(업무보조원)에게 임금 24억원을 지급하지 않아 국격(國格)의 손상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예산정책처의 결산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교부는 지난해 집행해야 할 행정원 인건비 가운데 24억2천600만원을 지급하지 않았고, 2007-2009년 58개 공관에서 행정원 892명에 대한 급여인상을 동결했다.

외교부는 재외공관 예산범위를 벗어나 행정원 인력을 과다운용, 인건비 예산부족을 초래했고, 예산의 집행환율이 편성환율보다 높아 작년에만 1천5억원의 환차손이 발생하자 인건비를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결위 전문위원은 검토보고서에서 "세계경제규모 12위의 국가위상에 비춰볼 때 임금이 미지급돼 다음연도로 이월하거나 수년간 임금인상을 못하는 것은 국격에 손상을 가져오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비서, 교환원, 사무행정보조원, 운전원, 경비원, 노무원, 요리사 등 재외공관 행정원은 한국인과 현지인으로 구성되며, 작년 12월 말 현재 166개 재외공관에서 2천6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하지만 임금 미지급 등 행정원 보수와 처우수준이 열악함에 따라 최근 잦은 인력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주뭄바이 총영사관 행정원 총원은 11명이나 최근 3년간 13명이 이직.퇴직했고, 주모로코 대사관의 경우 행정원 총원 16명 대비 9명의 이.퇴직 현상이 발생했다.

아울러 외교부는 부족한 인건비를 충당하기 위해 다른 사업 예산을 이.전용함에 따라 해당 사업 예산의 축소 및 집행부진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는 전자여권발급시스템 구축사업비 670억원 가운데 행정원 인건비로 14억2천900만원을 사용했고, 에너지협력외교 사업비 전용액 9억4천500만원 중 1억5천700만원이 공관인건비로 집행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투르크메니스탄, 브라질, 동티모르에서 에너지 협력외교를 위한 보좌관을 채용했으나 이들은 에너지분야와 관련한 학력, 경력을 갖고 있지 않았고, 예맨, 페루, 브라질, 카메룬의 에너지보좌관은 채용 6개월 이전에 퇴직했다.

예산정책처는 "외교부는 올해 에너지보좌관 예산을 작년보다 4배 많은 21억원으로 편성했으나 다른 재외공관 행정원과의 형평성을 저해할 수 있는 만큼 현지에 진출한 전문업체에 에너지업무 용역을 발주하는 등 대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