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방중 이틀째인 27일 지린(吉林)성 창춘(長春)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오찬후 정상회담'을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9시(한국시간 오전 10시)께 의전차량 편으로 지린(吉林)시를 출발해 1시간30분을 달려 난후(南湖)호텔로 진입했으며 호텔에서 오후 내내 김 위원장 의전차량의 외출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방중 첫날 선친의 모교, 항일유적지, 섬유공장 등의 방문 일정을 바쁘게 소화했던 김 위원장이 이처럼 장시간 움직이지 않으면서 호텔 주변에서는 중국의 수뇌부와 점심을 겸한 회동을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지린에서 한시간 거리인 창춘으로 이동한 것은 후 주석과 회담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베이징의 유력 외교소식통은 "점심 시간 전에 난후호텔에 중국 수뇌부 가운데 중요인사가 들어간 것으로 안다"며 "후 주석 아니면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아울러 후 주석이 최근 며칠새 휴양차 동북3성에 머무르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점도 후 주석의 난후호텔 방문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창춘의 한 소식통은 "후 주석이 창춘에 왔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월 방중에서 사흘째인 같은 달 5일 저녁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후 만찬' 형식으로 후진타오 주석과 4시간30분간 회담한 바 있다.

그러나 후 주석이 베이징(北京)도 아닌 변방의 창춘을 찾아 정상회담을 하는 게 드문 일이라는 점에서 시 부주석이 후 주석을 대신해 김 위원장과 회담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창춘에서 북중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김 위원장의 귀국 일정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며 "빠르면 오늘 밤이 될 수도 있고 내일 아침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린성의 성도 창춘의 트레이드 마크인 창춘이치자동차(제1자동차)가 김 위원장의 방문지로 거론되고 있으며, 영화광인 김 위원장이 중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창춘영화제작사를 찾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이징.창춘연합뉴스) 인교준 홍제성 특파원 kjihn@yna.co.krj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