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인물들 리더십 있겠나 걱정하는 것 알고 있어"
편협 정치부장 세미나서 주제발표 "기회주면 좋겠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26일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문제와 관련, "내일 의사 일정이 국회에 잡혀 있다"면서 "반대하면 반대하는 대로, 찬성하면 찬성하는대로 보고서를 채택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고 국회가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이날 제주도 서귀포시 칼(KAL)호텔에서 열린 편집인협회 주최 정치부장 세미나에 참석,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장기간 (총리를) 공석으로 남겨둘 수 없으니 정해진 의사 일정에 따라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국회에 요청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임 실장은 장관 내정자들에 대해서는 "정도의 차이지, 대부분의 후보자들이 대체로 문제들을 안고 있어 당초 개각할 때 기대했던 것보다 국민들의 실망이 크지 않나 파악하고 있다"면서 "특히 소통과 공정한 인사를 말하면서 이런 인물들로 과연 리더십이 있겠는가 걱정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름대로 완벽하게 했다고 하지만 자신들도 별로 문제시되지 않는다고 했던 것도 있고, 그때는 괜찮았지만 지금의 잣대로 보면 문제가 될 수 있는 일도 있고 해서 바라건대 더 좀 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부적으로도 한분 한분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들을 유념하면서 국회 움직임을 보고 있는 상태"라면서 "총리는 법적절차니까 진행을 좀 해주면 나머지는 인사권자가 여러가지 당의 의견, 각 후보자들의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절차를 진행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되고 이런 생각들은 지금 단계에서 건의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인사 시스템에 대해 좀 더 정비해 직접 주변 사람들을 탐문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인선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제도 보완을 고민하고 있다"며 "현장 확인도 해보고 여론과 소문도 들어보는 질적인 측면의 검증 보완이 필요할 듯 해 내부 논의중"이라고 말했다.

임 실장은 "(인선) 기준을 세운다는 게 고민했지만 쉽지는 않다"면서 "2000년도 이전의 문제에 대해서는 넘어가자고 할 수도 없고, 예를 들면 장상 이후 문제는 엄격히 봐야 한다고 하는데, 합리적인 기준인가에 대한 시비가 또 벌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북 쌀 지원 문제와 관련, "최근에 남한에 남는 쌀을 좀 보내면 남쪽 문제를 해결하고 그것을 계기로 전기를 마련할 수 있지 않느냐 하는 이야기도 나오지만 기본적으로 북쪽 여러 입장이 전혀 변화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기조 자체를 바꾸는 것은 어렵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회동에 대해서는 "오해를 살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하자는 데 공감이 이뤄져 만나는 자리에 배석을 전혀 하지 않았다"고 소개했다.

임 실장은 또 개헌 문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정부나 대통령이 주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국회에서 여야간에 논의가 시작돼야 하지 않느냐고 (이명박 대통령이) 문제인식은 그렇게 하고 있는 것 같다"며 "구체적으로 이런 이런 부분에서 필요하다,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한다, 이런 말을 하는 것은 한번도 못들어봤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제안한 통일세와 관련해서는 "통일부와 기획재정부가 민간 전문가들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며 "청와대는 그렇게 논의가 진행되도록 뒷받침하면서 거기서 나온 내용들을 종합해 대안을 준비하는 데 방향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서귀포연합뉴스) 김지선 기자 sunny1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