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원들이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의 한국강제병합 100년 담화로는 만족할 수 없다며 일본군 위안부 등 문제에 대한 추가 논의를 요구하는 문서를 일본측에 전달했다.

민주당 김영진 의원 등 한국 의원들은 19일 오후 도쿄 중의원 제1의원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일본 민주당 도이 류이치(土肥隆一) 중의원 의원 등에게 '간 총리에게 보내는 요망서'를 전달했다.

한국 의원들은 요망서에서 ▲일본측이 식민지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배상하고 ▲일본군 위안부, 사할린동포, 원폭 피해자 등에 대해 추가 논의를 하고 ▲재일동포에 대한 차별을 없애며 이들에게 지방참정권을 부여하고 ▲일본측이 과거 청산에 기반해 동북아시아 평화 실현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일본측은 "간 담화가 발표된 것은 일보 전진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더 생각해봐야 할 점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양국 의원들이 앞으로 어떤 방법으로 논의해 나갈지 지혜를 짜내자"고 응답했다.

이후 양국 의원들은 간 총리의 담화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한일관계를 논의한 뒤 기자회견을 열고 과거사 해결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한나라당 장광근 의원은 토론에서 "일본이 진정으로 솔직해지고 싶다면 병합조약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체결 당시부터 무효였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측에서 김 의원과 장 의원 외에 민주당 강창일, 이낙연, 장세환,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참석했고, 일본측에서는 도이 의원 외에 사이토 쓰요시(齋藤勁), 이시게 에이코(石毛瑛子), 우부카타 유키오(生方幸夫) 의원과 사회민주당 후쿠시마 미즈호(福島瑞穗) 당수와 아베 도모코(阿部知子) 의원, 공산당 야마시타 요시오(山下芳生) 의원이 자리를 함께 했고, 자민당 가토 고이치(加藤紘一) 의원은 대리인을 보냈다.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이 환영사를 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참석하지 않았다.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특파원 chungw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