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각광받고 있는 3D 영화(3차원입체영상)는 1950년대 시네마스코프 영화(스크린의 가로폭이 훨씬 큰 영화)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 시네마스코프로 처음 상영됐을 때 관객들이 몰렸지만 열기는 금세 식었다. "

가케오 요시오 일본 키네마준보 영화종합연구소장은 제11회 전주국제영화제 행사의 일환으로 30일 전주 코아호텔에서 열리는 '3D 영화와 한국 영화의 미래' 국제세미나 발제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발제자로 나설 가케오 소장을 비롯해 마크 차베스 싱가포르 난양대 교수,정재형 한국영화학 회장(동국대 교수) 등은 일제히 '아바타' 이후 촉발된 3D 산업에 대한 관심과 비전이 '과열 양상'이라고 지적했다.

가케오 소장은 "3D는 모든 것을 현실감 있게 표현하기 때문에 관객의 해석력을 약화시키고 제작자의 상상력도 떨어뜨린다"며 "관객들이 조만간 3D 영화를 지겨워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령 거장 오즈 야스지로 감독은 다다미 방에 앉아있는 인물을 낮은 앵글의 2D로 촬영했지만 그 방의 깊이를 느끼도록 했고,곤 이치가와 감독은 흑백 영화 '버마의 하프'에서 '버마의 땅은 붉다'라는 자막으로 화면에 붉은 기운을 녹여냈다는 것이다.

가케오 소장은 "일본 극장주들은 3D 영화가 드라마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특정 장르에 제한될 것이라고 여겨 3D 상영관 확대에 소극적"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말까지 전체 스크린 3396개 중 3D 상영관은 10% 선인 351개다.

마크 차베스 싱가포르 난양대 교수도 발제문을 통해 "3D 영화가 지금처럼 스크린에서 뭔가 튀어나올 것 같은 특수효과에만 기댄다면 곧 함정에 빠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관객들은 처음 느낀 입체영상의 충격이 지나면 바로 이야기에 집중하게 된다는 얘기다. 위대한 영화들이 흑백과 모노 사운드,1 대 1.33의 표준 화면 비율로 제작된 게 그 증거라는 것.영화 원작이 엉망이면 3D를 입혀도 별 수 없다는 얘기다.

그는 특히 3D 영상의 피로감이 산업 발전에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3D 영화를 자주 접한 관람객의 12% 정도가 시력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쪽 눈을 통해 전달되는 개별 이미지를 뇌에서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는 의미다. "

실제로 시력에 이상이 생기면 3D 영화에 필수적인 높이 넓이 깊이의 3차원 공간 감각을 제대로 감상하기 어렵고 눈의 피로와 두통을 겪게 된다. 이는 20세기부터 3D 영화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줄곧 따라다닌 문제였다.

정재형 한국영화학회장은 "3D는 대세가 아니라 일부에서 진행 중인 현상일 뿐"이라며 "지속적인 비즈니스 모델조차 없다"고 말했다. '아바타'의 흥행 요소도 3D가 아니라는 것이다. 뛰어난 CG 합성기술에다 3D를 얹어 부가가치를 높인 것이기 때문에 스토리텔링과 기획 개발이 더욱 중요한 요소라고 그는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아바타'가 개봉되기 수년 전부터 3D 준비를 해왔다. 미국이 하니까 우리도 한다는 식이나 3D 기술 개발만이 살길이란 목소리를 우려한다. "

그는 애니메이션 부문에서 한국이 미국을 좇아 3D만 개발하다가 잘 하던 2D 산업을 버림으로써 사양화된 경험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