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아파트 값이 계속 떨어지면서 주택 시장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서울과 신도시, 기타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까지 5주째 동반 하락했다. 특히 서울과 신도시는 7주째 내림세를 이어갔다. 분당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시가 보다 1억원 넘게 값을 내린 급매물도 등장하고 있다. 아파트 매매가는 올해 들어 1분기에 서울의 경우 0.23% 올랐지만, 월별로 보면 1월 0.21%, 2월 0.01%로 변동폭이 작아지다가 3월에 -0.09%를 기록하며 하락세로 돌아섰다. 또 4월 들어서도 계속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 변동이 심해 1월에는 1.30% 상승했지만 2월에는 0.07% 내렸고, 3월에는 0.55% 하락하는 등 내림폭이 커졌다. 시장에선 집값이 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확실한 재테크 수단으로 꼽히던 서울 강남 지역 재건축 물량에 대한 매수세 마저 자취를 감췄다. 작년 연말 상승세를 보였던 강남권 재건축 대상 아파트는 최근 들어 매수세가 아예 실종되면서 맥을 못 추고 있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112㎡형은 이달 들어 11억원에 팔리면서2주전인 지난달 말 거래가(11억6천만원)에서 불과 보름 사이에 6천만원 빠졌다. 올해 초 같은 면적형이 12억3천500만~12억5천만원에 거래된 점을 감안하면 석 달 사이에 최고 1억5천만원이 하락한 것이다. 지난달 초 안전진단을 통과한 대치동 은마아파트 역시 가격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안전진단 통과 당시 10억원 선이던 102㎡형은 현재 저층 급매물이 9억원에도 나와 있고 평균적으로는 9억4천만~9억5천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지만 찾는 사람이 없다. 분당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는 시가보다 1억원 가량 낮은 급매물도 등장하고 있다. 하락폭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강북지역 아파트도 내림세가 꾸준하다. 강북구 미아동 SK북한산시티는 최근 한 달 새 중대형 면적을 중심으로 1천만~2천만원씩 떨어지면서 142㎡형이 4억2천만~5억원으로 내려앉았고 노원구 하계동 청솔7단지 72㎡형은 2억2천만~2억3천만원으로 500만~1천만원 떨어졌다. 일각에선 이런 분위기를 들어 집값에 낀 거품(버블)이 마침내 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연말까지 집값의 약세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거품붕괴 식의 급락 가능성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 시장 침체를 단기 급등에 이은 가격 조정이라는 분석이다. 2008년 하반기 촉발된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토지 보상금 등 유동자금이 몰리면서 부동산 가격이 실제 경기회복 속도를 앞질러 올랐다가 최근 조정국면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총부채산환비율(DTI)을 확대 적용한 것도 돈의 흐름을 경색시켜 거래를 위축시켰다. 정부는 지난해 9월7일부터 집값 상승과 투기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DTI 규제를 기존 해당 지역인 강남 3구를 포함한 수도권으로 확대 적용했고, 10월12일부터는 적용 대출 기관에 제2금융권을 포함시켰다. 최근에는 이른바 '반값 아파트'로 불리는 보금자리주택이 위례신도시 등 요지에 공급되고 있는 점도 매수세를 붙들어 매는 요인 중의 하나다. 산은경제연구소, 현대경제연구원 등 경제연구소들도 잇따라 집값 거품 붕괴 가능성을 시사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산은경제연구소는 지난달 '국내 주택가격 적정성 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물가 대비 아파트 가격 상승정도가 미국과 일본의 과거 정점 수준을 넘어섰으며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PIR)도 미국, 일본에 비해 높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와 전문가들은 급락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보금자리주택 공급과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로 거래가 중단되면서 약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급락을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