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대우자판 워크아웃 빠르면 8일 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금난에 빠진 대우자동차판매를 회생시킬 지 여부가 조만간 결정된다.
주채권은행은 산업은행은 7일 "워크아웃과 자율협약 등을 포함해 대우자판 처리 방향을 조만간 결정할 것"이라며 "이르면 7일이나 8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자판이 이달 말 만기가 도래하는 250억 원 가량의 기업어음(CP)를 갚지 못할 경우 부도처리 되기 때문에 채권단은 그 전에 조치를 취하는 게 낫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이 워크아웃 카드를 꺼내들 경우 채권ㆍ채무는 동결되고 대우자판에 대한 실사를 통해 신규자금 투입 등 회생조치가 이뤄지게 된다.
채권단간 협의를 통해 금융채권은 조정에 들어가게 된다.
관건은 채권단이 대우자판을 회생시키는 쪽으로 결정할 지 여부다.
시시각각 수백억에서 수천억 원에 달하는 부채의 만기가 도래하는 상황에서, 대우자판의 자금사정은 개선될 여지가 별로 없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분기부터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대우자판 회사채 규모는 4387억 원에 달한다. 2분기 700억 원, 3분기 2320억 원, 4분기 1367억 원 등이다.
자금수요에 비해 대우자판의 현금흐름은 악화일로다.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던 GM대우와 결별한 상황에서 자금줄이었던 부동산 사업마저도 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우자판은 만기도래한 회사채를 신규 회사채를 발행해 돌려막기 하는 등 미봉책에 매달리는 형편이다. 1분기 중 이런 식으로 발행된 회사채 규모만 2200억 원이다.
냉정하게 보면 채권단 입장에선 굳이 대우자판을 살릴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채권 대부분이 대우자판이 보유한 부동산으로 담보가 설정돼 있어, 최악의 경우 팔아서 채권을 회수하면 그만이다.
대우자판의 토지 및 건물 등을 통한 부동산 담보 대출 규모는 총 1조2000억 원 가량이다.
산업은행이 5360억 원으로 주채권은행이고, 우리은행(2145억 원)과 동양종금(1500억 원)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고민이 여기에 있다.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에 들어가자니 회생시키는 과정에서 신규자금 투입 등의 리스크를 새로 떠안아야 하는데, 그렇다고 국가 경제의 한 축을 책임지는 금융사가 쓰러져가는 기업을 나몰라하면서 채권회수만 신경 쓸 수도 없다는 것이다.
한익재기자 ij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