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실종된 보금자리 브랜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플러스요? 잡지 이름인가요?"
보금자리주택 청약을 준비 중인 직장인 서모씨(35)가 당첨될 경우 자신이 살게 될 아파트의 이름이 '뉴플러스'가 된다는 얘기를 듣고서 보인 반응이다. 서씨뿐만 아니라 보금자리주택 입주를 희망하는 대부분의 무주택자들도 뉴플러스란 브랜드를 모르기는 마찬가지다.
2008년으로 되돌아가보자.국토해양부는 그해 11월 "새 정부의 새로운 주택정책인 보금자리주택의 통합브랜드를 만들겠다"며 국민 공모에 나섰다. 한 달간 총 2만4000여명이 참여했다. 국토부는 이 가운데 최우수작 등을 뽑아 시상금 명목으로 2000만원의 세금을 썼다. 선정작을 다듬기 위해 국토부는 변리사와 브랜드 전문가 등 심사위원회도 구성했고 네이밍 전문가도 불렀다. 따라서 이 브랜드를 만드는 데 2000만원보다 훨씬 많이 들었을 것이다.
정부는 브랜드 공모 후 보도자료를 통해 "앞으로 보금자리주택 브랜드를 '뉴플러스'로 통일해 모든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BI(브랜드아이덴티티) 작업과 동영상,책자,TV · 인터넷 · 지하철 광고 등을 통해 본격 홍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로부터 1년 여가 지난 지금 정부가 자랑했던 보금자리 브랜드는 찾아보기 힘들다. 청약자는 고사하더라도 공무원들조차 브랜드를 외면하고 있다. 브랜드를 총괄하고 있는 국토부도 뉴플러스 대신 보금자리주택으로만 부르고 있다. 국토부 홈페이지가 그렇고 지난달 31일 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 발표 브리핑 때도 그랬다. 최근 사전예약이 끝난 위례신도시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에는 뉴플러스라는 이름을 찾아볼 수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브랜드 선정에 참여한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담당자가 바뀌어 관련 내용을 제대로 모르고 있다. "분양 팜플렛 등에는 뉴플러스를 쓰고 있다"거나 "그동안 취약했던 홍보를 앞으로 강화하겠다"는 국토부의 해명이 궁색해 보인다.
국토부와 LH공사에 따르면 2018년까지 총 150만채의 공동주택이 뉴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지어진다. 래미안,자이처럼 아파트 건물 측면에 '뉴플러스'가 표기된다는 얘기다. 그러나 정부 인력과 세금까지 투입해 만든 브랜드를 정부조차 쓰지 않는데 입주 당사자들이 좋아할 리 만무하다. 브랜드 파워에 따라 아파트 가격도 달라지는 시대 아닌가.
김재후 건설부동산부 기자 hu@hankyung.com
보금자리주택 청약을 준비 중인 직장인 서모씨(35)가 당첨될 경우 자신이 살게 될 아파트의 이름이 '뉴플러스'가 된다는 얘기를 듣고서 보인 반응이다. 서씨뿐만 아니라 보금자리주택 입주를 희망하는 대부분의 무주택자들도 뉴플러스란 브랜드를 모르기는 마찬가지다.
2008년으로 되돌아가보자.국토해양부는 그해 11월 "새 정부의 새로운 주택정책인 보금자리주택의 통합브랜드를 만들겠다"며 국민 공모에 나섰다. 한 달간 총 2만4000여명이 참여했다. 국토부는 이 가운데 최우수작 등을 뽑아 시상금 명목으로 2000만원의 세금을 썼다. 선정작을 다듬기 위해 국토부는 변리사와 브랜드 전문가 등 심사위원회도 구성했고 네이밍 전문가도 불렀다. 따라서 이 브랜드를 만드는 데 2000만원보다 훨씬 많이 들었을 것이다.
정부는 브랜드 공모 후 보도자료를 통해 "앞으로 보금자리주택 브랜드를 '뉴플러스'로 통일해 모든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BI(브랜드아이덴티티) 작업과 동영상,책자,TV · 인터넷 · 지하철 광고 등을 통해 본격 홍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로부터 1년 여가 지난 지금 정부가 자랑했던 보금자리 브랜드는 찾아보기 힘들다. 청약자는 고사하더라도 공무원들조차 브랜드를 외면하고 있다. 브랜드를 총괄하고 있는 국토부도 뉴플러스 대신 보금자리주택으로만 부르고 있다. 국토부 홈페이지가 그렇고 지난달 31일 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 발표 브리핑 때도 그랬다. 최근 사전예약이 끝난 위례신도시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에는 뉴플러스라는 이름을 찾아볼 수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브랜드 선정에 참여한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담당자가 바뀌어 관련 내용을 제대로 모르고 있다. "분양 팜플렛 등에는 뉴플러스를 쓰고 있다"거나 "그동안 취약했던 홍보를 앞으로 강화하겠다"는 국토부의 해명이 궁색해 보인다.
국토부와 LH공사에 따르면 2018년까지 총 150만채의 공동주택이 뉴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지어진다. 래미안,자이처럼 아파트 건물 측면에 '뉴플러스'가 표기된다는 얘기다. 그러나 정부 인력과 세금까지 투입해 만든 브랜드를 정부조차 쓰지 않는데 입주 당사자들이 좋아할 리 만무하다. 브랜드 파워에 따라 아파트 가격도 달라지는 시대 아닌가.
김재후 건설부동산부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