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거둔 종합5위의 성과를 경제적 가치로 따지면 20조원을 웃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 이동훈 수석연구원은 3일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가치와 효과' 보고서에서 "동계올림픽에서 우리 대표팀이 보여준 선전은 직접효과와 파급효과를 합해 20조2천억원 이상의 경제적 가치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직접효과로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홍보한 효과가 1조2천96억원이라고 계산했다.

메달리스트의 방송 노출 시간이 시상식 등을 포함해 30분가량인데, 여기에 올림픽 주요 방송사의 분당 광고비(약 240만 달러)에 환율(달러당 1,200원)을 적용한 것이다.

이 연구원은 "해외 언론의 반응까지 고려하면 이번 올림픽을 통해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1%포인트 이상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국가 이미지 상승의 파급효과는 이보다 훨씬 더 클 것으로 짐작됐다.

이 연구원은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좋아져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국내 14개 기업이 1개사당 600억원씩 총 8천400억원의 홍보 효과를 거뒀다고 계산했다.

이에 따라 내수 및 수출 판매가 연간 약 14조8천억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올림픽 중계를 보면서 국민들이 느낀 즐거움을 TV 시청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으로 간주하면 3조3천억원의 사기진작 효과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레저ㆍ스포츠 산업이 활성화하고 연관 산업까지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며 "사회통합, 자신감과 자부심, 스포츠 외교력 강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탄력 같은 사회ㆍ문화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