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분할매각해야 효율적이다"-IBK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BK투자증권은 26일 올해 은행권에서 관심이 큰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 차원에서 우리금융을 분할해 매각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이 증권사 이혁재 연구원은 "우리금융의 경우 연내 민영화 방침은 정해졌지만, 어떻게 민영화할 지에 대해서는 관련자들 사이에 논란만 분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정부 입장에서 최선은 보유지분의 완전한 매각을 통해 투입한 공적자금 이상을 회수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지분가치가 7조원을 웃도는 예금보험공사 소유분을 모두 현금을 주고 살만한 대상은 별로 없는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또 "해외매각은 정치적 부담이 크고, 금융공기업으로 매각은 진정한 민영화인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 때문에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그렇다면 결국 매각대상은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으로 좁혀진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신한지주는 우리금융에 관심이 적고, KB금융의 경우 관심은 있지만 독과점 우려가 있고, 하나금융은 관심은 많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지적이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한국금융의 미래를 위해선 우리금융을 분할매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개 시장참여자에 불과한 입장에서 주제넘는 발언일 수 있으나, 우리금융 민영화가 지분의 일괄매각 방식을 통해 완성되기 어렵다면 한국 금융시장의 미래를 위해 차라리 우리금융을 은행, 지방은행, 금융투자(증권) 등으로 분할해 각기 가장 필요로 하는 주체에게 매각하는 방식을 검토해 볼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증권이 필요한 KB금융에는 우리투자증권을,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하나금융과 지방은행에게는 각각 우리은행과 광주·경남은행을 매각하는 방법이 효율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이 증권사 이혁재 연구원은 "우리금융의 경우 연내 민영화 방침은 정해졌지만, 어떻게 민영화할 지에 대해서는 관련자들 사이에 논란만 분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정부 입장에서 최선은 보유지분의 완전한 매각을 통해 투입한 공적자금 이상을 회수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지분가치가 7조원을 웃도는 예금보험공사 소유분을 모두 현금을 주고 살만한 대상은 별로 없는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또 "해외매각은 정치적 부담이 크고, 금융공기업으로 매각은 진정한 민영화인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 때문에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그렇다면 결국 매각대상은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으로 좁혀진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신한지주는 우리금융에 관심이 적고, KB금융의 경우 관심은 있지만 독과점 우려가 있고, 하나금융은 관심은 많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지적이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한국금융의 미래를 위해선 우리금융을 분할매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개 시장참여자에 불과한 입장에서 주제넘는 발언일 수 있으나, 우리금융 민영화가 지분의 일괄매각 방식을 통해 완성되기 어렵다면 한국 금융시장의 미래를 위해 차라리 우리금융을 은행, 지방은행, 금융투자(증권) 등으로 분할해 각기 가장 필요로 하는 주체에게 매각하는 방식을 검토해 볼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증권이 필요한 KB금융에는 우리투자증권을,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하나금융과 지방은행에게는 각각 우리은행과 광주·경남은행을 매각하는 방법이 효율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