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담합' 칼 뺀 공정위…방패 든 은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가산금리 인상 협의 의혹"
은행 "개별적 판단해 올려"
은행 "개별적 판단해 올려"
공정거래위원회가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담합 의혹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섰다. 공정위 관계자는 "은행들의 금리 담합 의혹에 관한 신고가 여러 건 접수돼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고 24일 말했다.
◆가산금리 3%포인트 넘어
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개월 만기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에 각종 제반비용과 은행의 수익을 포함한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이 가산금리는 지난해 9월까지만 해도 은행별로 1%포인트 안팎에 불과했다.
그러나 CD 금리가 지난해 말부터 급락하자 은행들은 수익성 유지를 이유로 가산금리를 인상,지금은 최고 3%포인트가 넘는 가산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9월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가계대출의 가산금리는 3.07%포인트로 1999년(4.37%포인트)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거의 모든 시중은행의 가산금리가 비슷하게 오른 데에는 담합의 여지가 있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이후 한국은행의 저금리 정책으로 CD금리가 큰 폭으로 떨어졌음에도 실제 대출금리 하락은 소폭에 그쳤다. CD금리는 지난해 10월 말 연 5.98%에서 현재 2.79%로 3.19%포인트 하락한 데 반해 같은 기간 예컨대 국민은행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6.9~8.42%에서 4.75~6.35%로 2.07~2.15%포인트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은행들 "사전 협의 없었다"
은행들은 대출금리 담합 의혹을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CD금리 급락으로 대출 수익성이 악화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각 은행이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가산금리를 올렸을 뿐 은행 간 사전 협의 등은 없었다는 것이다.
은행 간 대출금리가 비슷하게 형성되고 있는 것도 경쟁의 결과일 뿐 담합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타 은행에 비해 금리가 지나치게 높으면 영업상 불리하고 지나치게 낮으면 수익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항상 타 은행의 금리 수준을 참고하면서 대출금리를 결정한다"며 "그 결과 대출금리가 비슷해진 것을 담합행위로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담합 공방 치열할 듯
문제는 은행권의 영업 특성이다. 은행은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금융시스템의 핵심이기 때문에 각 은행의 임원 또는 실무자 간 회합이 상대적으로 잦다. 담합 의혹을 불러일으킬 만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감독원 주재로 열린 은행 실무자회의에서 대출금리에 대한 얘기가 오가기도 한다"며 "이를 전후해서 각 은행들이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 전했다. 감독당국의 주관 아래 공식적인 은행 실무자 간 회의 이후 대출금리 인상 또는 인하가 이뤄지는 것은 감독당국의 지침에 응한 것으로 봐야지 담합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는 게 은행권의 입장이다. 하지만 공정위는 이에 대해 달리 해석할 가능성이 커 '가산금리'를 둘러싼 담합공방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승호/박신영 기자 usho@hankyung.com
◆가산금리 3%포인트 넘어
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개월 만기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에 각종 제반비용과 은행의 수익을 포함한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이 가산금리는 지난해 9월까지만 해도 은행별로 1%포인트 안팎에 불과했다.
그러나 CD 금리가 지난해 말부터 급락하자 은행들은 수익성 유지를 이유로 가산금리를 인상,지금은 최고 3%포인트가 넘는 가산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9월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가계대출의 가산금리는 3.07%포인트로 1999년(4.37%포인트)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거의 모든 시중은행의 가산금리가 비슷하게 오른 데에는 담합의 여지가 있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이후 한국은행의 저금리 정책으로 CD금리가 큰 폭으로 떨어졌음에도 실제 대출금리 하락은 소폭에 그쳤다. CD금리는 지난해 10월 말 연 5.98%에서 현재 2.79%로 3.19%포인트 하락한 데 반해 같은 기간 예컨대 국민은행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6.9~8.42%에서 4.75~6.35%로 2.07~2.15%포인트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은행들 "사전 협의 없었다"
은행들은 대출금리 담합 의혹을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CD금리 급락으로 대출 수익성이 악화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각 은행이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가산금리를 올렸을 뿐 은행 간 사전 협의 등은 없었다는 것이다.
은행 간 대출금리가 비슷하게 형성되고 있는 것도 경쟁의 결과일 뿐 담합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타 은행에 비해 금리가 지나치게 높으면 영업상 불리하고 지나치게 낮으면 수익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항상 타 은행의 금리 수준을 참고하면서 대출금리를 결정한다"며 "그 결과 대출금리가 비슷해진 것을 담합행위로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담합 공방 치열할 듯
문제는 은행권의 영업 특성이다. 은행은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금융시스템의 핵심이기 때문에 각 은행의 임원 또는 실무자 간 회합이 상대적으로 잦다. 담합 의혹을 불러일으킬 만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감독원 주재로 열린 은행 실무자회의에서 대출금리에 대한 얘기가 오가기도 한다"며 "이를 전후해서 각 은행들이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 전했다. 감독당국의 주관 아래 공식적인 은행 실무자 간 회의 이후 대출금리 인상 또는 인하가 이뤄지는 것은 감독당국의 지침에 응한 것으로 봐야지 담합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는 게 은행권의 입장이다. 하지만 공정위는 이에 대해 달리 해석할 가능성이 커 '가산금리'를 둘러싼 담합공방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승호/박신영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