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하다. 묘수가 없다. " 세종시 문제와 관련,원안 고수를 주장하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측을 어떻게 설득할 것이냐는 질문이 나오면 청와대 참모들은 한결같이 이 같은 반응을 내놓는다.

이명박 대통령과 정운찬 총리가 세종시 수정안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정면돌파 쪽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박 전 대표의 반대입장에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세종시 특별법 수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려면 박 전 대표 측의 협조는 필수적이다. 때문에 청와대는 박 전 대표 측을 자극할 만한 언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11일 "세종시 수정안이 나오면 친박측뿐만 아니라 대국민 설득에 적극 나설 예정인데 감정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며 친이측 의원들에게 자제를 당부했다. 박형준 정무수석을 비롯한 참모들은 친이계 의원들에게 이 같은 뜻을 전했다. 이 대통령의 의지가 담겨 있음은 물론이다.

지난달 16일 이 대통령은 박 전 대표와 청와대에서 독대했을 때 세종시 수정의 불가피성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고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전했다.

이에 대한 박 전 대표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박 전 대표는 "며칠 전 (주호영 특임장관이) '세종시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 내년 초까지 대안을 만들려고 한다'는 말을 했다"며 "이에 '제 입장은 이미 밝혔고 할 말은 다했다'고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 '원안 고수'입장 그대로다.

다만 친박계 중진 의원들은 계파 갈등 심화를 우려하며 '휴전'을 제안했다. 한나라당 최고 · 중진위원 연석회의에서 친박계 이경재 의원은 "(세종시 문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요즘 본회의장에 있으면 조마조마하다. 서로 자극하지 말고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해봉 의원도 "정부안이 나올 때까지 서로 자극하지 말고 입을 닫아야 한다"고 했고 김영선 의원은 "온통 세종시에 관한 얘기뿐인데 그 이외 다른 지역의 발전도 시급하다"며 "당에서 책임지고 세종시 외 다른지역의 발전 방안을 추진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홍영식/구동회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