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정감사 2주째를 맞는 12일 여야는 `효성 비자금' 부실 수사 논란과 재정건전성 문제 등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특히 민주당이 대통령 사돈기업으로 알려진 효성그룹의 비자금 수사 문제와 함께 그룹 회장 장남인 조현준 ㈜효성 사장의 450만 달러짜리 미국 호화주택 구입 의혹 등을 제기하며 특검 또는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이에 한나라당이 정치공세라고 일축하면서 국감 중반 새 이슈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회 법사위 박영선(민주당) 의원은 이날 서울고검.서울중앙지검 등에 대한 국감에서 "검찰이 비자금 사건과 주가조작 사건 등 효성 관련 5개 사건에 대해 대부분 무혐의 처리하거나 개인비리로 치부해 사실상 수사를 덮었다"면서 "대통령 친인척 비리를 비호하기 위한 정치검찰인지 아니면 국민을 위한 검찰인지 답해야 한다"고 추궁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장윤석 의원은 "확정되지 않은 내용을 정치적으로 부풀리거나 대통령과 특수관계에 있다는 것만으로 국민이 불필요한 의혹을 갖도록 해서는 안된다"면서 "구체적 근거가 있다면 의혹을 제기할 수 있겠지만 지나치게 정치공세로 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여야는 또 법사위 국감에서 인터넷 논객인 미네르바 사건과 용산 참사, 박연차 게이트, `조두순 사건' 등을 놓고도 설전을 벌였다.

기획재정위의 기획재정부 국감에서는 국가채무 1천조원 돌파, 감세정책에 따른 재정건전성 문제, 4대강 정비사업 예산 등이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민주당 김효석 의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국가부채에다 공적연금 잠재부채를 더하면 우리나라 국가부채가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섰다"면서 "MB정권은 거품경제를 즐기다 결국 `빚더미 정권'으로 끝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안효대 의원은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빚이 1천조원을 넘어섰다"면서 "국가채무를 산출할 때 총금융부채 개념을 도입하고, 국민에게 정확한 나라 빚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행안위는 경찰청 국감에서 경찰이 촛불집회 참가자와 그 가족까지 수사했다는 이른바 `연좌제' 논란과 함께 경찰의 범죄 피의자 및 피해자 개인정보 수집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따졌다.

이밖에 지식경제위는 한국전력공사 국감에서 한전과 한전 발전 자회사간 재통합 문제, 농수산식품위는 농어촌공사 국감에서 4대강 저수지 둑 높임 사업의 타당성 논란, 정무위는 금융위원회 국감에서 정부의 저신용자 창업지원 대출인 `미소금융' 사업 등을 각각 추궁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