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이 없어 아무것도 먹지 못하는 환자에게 뇌사자의 소장(小腸)을 이식하는 수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명덕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교수팀은 지난해 12월31일 의료사고로 위장관이 손상돼 '단장(短腸)증후군'을 앓고 있던 한송희씨(22 · 여)에게 뇌사자의 소장을 이식한 뒤 3개월여가 지난 현재 건강상태가 매우 양호하다고 14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14시간에 걸친 수술을 통해 뇌사자에게서 떼어낸 소장 전체(약 4m)와 대장 절반을 한씨에게 이식했다. 이후 약 11주간 입원 치료하는 동안 상태가 좋아져 그동안 해오던 정맥영양주사요법을 중지했다. 한씨는 정상적인 식사가 가능해져 지난달 19일 퇴원했다.

소장 이식은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소장은 외부 이물질에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상피세포인 데다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림프조직이 풍부해 이식거부반응이 아주 강하다. 적출 후 대변을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이식하기 때문에 감염 관리가 어렵다.

특히 소장 이식 환자 중 일부는 창자가 없는 동안 줄어든 복강 때문에 복강 내 공간이 부족해 이식 후 배를 닫으면 이식된 소장에서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교수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수술 1년 전부터 환자의 뱃속에 물풍선을 넣어 복강 내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고안,적용함으로써 4m에 달하는 소장 전체와 대장 일부를 무리 없이 뱃속에 집어넣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팀은 앞서 2004년 4월 국내 처음으로 가족 간 성인 소장 이식에 성공한 데 이어 2005년 7월에는 세 살짜리 가족 간 소아 소장 이식도 시행했다. 이 교수는 "새로운 수술디자인과 감염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그동안 이뤄진 총 3건의 수술 환자들이 모두 생존해 있는 성적을 거뒀다"며 "세계 평균 소장 이식 1년 생존율은 60% 선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