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는 8만-9만가구로 추산

올해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건설될 주택이 15만가구로 계획됐다.

그러나 주택경기가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실패로 끝날 가능성도 높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작년에 수도권 공공택지에서의 주택 건설은 8만-9만가구에 그쳤다"면서 "올해에는 15만가구를 목표로 공공부문에서의 주택건설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13일 말했다.

정부는 작년에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15만가구를 목표로 했으나 실적은 크게 미치지 못했다.

정부는 올해에는 보금자리주택단지와 2기 신도시, 대규모 국책사업지 등에서 차질없이 주택이 건설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대규모로 주택이 건설될 수도권 부지로는 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2만가구)와 청라지구(1만4천가구), 김포양촌신도시(1만4천가구) 등이다.

판교신도시와 광교신도시에서도 물량이 나오지만 구체적인 계획이 확정되지는 않았다.

또 정부는 올해 보금자리주택을 전국에서 13만가구 건설한다는 계획으로 이중 60-70%가량인 8만-9만가구가 수도권에 배정될 가능성이 높아 계획대로만 추진되면 15만가구는 문제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보금자리주택건설을 위한 법률 개정이 빠르면 2월 임시국회에서나 가능하고 주택경기 침체가 계속 이어질 경우 신도시 등의 주택건설도 지연될 수 있어 낙관하기는 이르다.

작년에도 신도시 등에서 주택건설이 차질을 빚는 바람에 목표를 70%가량 달성하는 데 그쳤다.

국토부는 보금자리주택건설을 위한 법률 개정은 다소 늦어지더라도 하위법인 시행령 개정 등을 서두를 경우 애초 13만가구 건설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가장 많은 주택이 건설된 해는 2007년으로 14만1천가구였다.

한편 작년 전국의 주택건설실적은 수도권 20만가구, 전국 30만가구에 그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애초 목표했던 수도권 30만가구, 전국 50만가구의 70%수준을 달성하는 데 그쳤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su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