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보고 연내 마무리하고 신년연설 앞당겨

이명박 대통령이 `경제살리기' 행보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내년 초.중순 받을 예정이던 일반 부처 업무보고를 연내 앞당겨 받기로 하고, 신년연설도 예전에 비해 보름 이상 앞당기기로 한 것.
이 대통령은 교육과학기술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는 내년 1월6일에서 오는 27일, 법무부와 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 업무보고는 내년 1월9일에서 오는 29일, 외교통상부와 통일부, 국방부 업무보고는 내년 1월13일에서 오는 31일로 각각 앞당겼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23일 밝혔다.

또 오는 30일에는 공공기관 가운데 경제위기 극복에 영향력이 큰 조폐공사와 관광공사, 마사회, 가스공사, 한국전력, 주택공사, 토지공사 등 주요 공기업 30여 곳에 대한 업무보고도 받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집권 2년차의 국정구상이 담길 신년연설은 애초 내년 1월 5일로 계획했다가 2일로 사흘 앞당기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 대통령의 신년연설은 예년에 비해 보름 가량 빠른 것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해는 1월23일, 2006년에는 1월18일에 각각 신년연설을 했다.

이 대통령이 이처럼 업무보고와 신년연설 등 국정운영을 서두르는 것은 이른 바 `경제살리기 속도전'에 나서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새해부터 곧바로 관련 예산을 신속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연내에 모든 행정적 절차를 끝내겠다는 것이다.

또 신년연설을 통해 경제위기 극복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정치, 사회 전반의 협력을 최대한 빨리 이끌어 내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변인은 "경제살리기는 한시가 급한 과제로,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일전에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가 말한 것처럼 경제살리기 조치를 질풍노도처럼 실천에 옮기겠다는 취지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업무보고를 연내 마무리하기로 한 것은 모든 부처가 한마음 한뜻으로 경제살리기 노력에 보조를 맞추자는 취지"라면서 "이 대통령은 평소 모든 부처가 경기활성화 사업에 유기적으로 연관돼 있음을 강조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