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중공업 채권단이 3일 C&중공업과 C&우방에 대한 채권은행공동관리(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하면서 자산 매각을 비롯한 C&그룹의 자구 노력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C&중공업은 총 3조원 이상의 벌크선 60여척을 수주한 상황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1천700억원의 시설 자금을 조달받지 못해 올해 8월말부터 목포 조선소의 조업을 중단하고 있다.

채권단은 워크아웃 작업의 일환으로 C&측에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하면서 자산매각도 측면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C&그룹은 계열사 매각에 나서 우방ENC, C&중공업 철강사업 부문, C&라인 등을 M&A 시장에 내놓는 한편 한강유람선 사업자인 ㈜C&한강랜드를 공개 매각키로 했다.

또한 국내외 금융컨소시엄과 진도에프엔 주식 330만주, C&우방랜드 주식 177만주를 양도담보자산으로 400억원을 차입하는 등 총 1천8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는 약정을 맺었고 ㈜C&우방과 레저사업 부문의 ㈜C&우방랜드도 시장에 내놓았다.

케이블TV 계열사인 생활경제TV㈜와 ㈜방송과 사람은 ㈜영상세계에, 컨테이너 리스 사업을 하고 있는 C&컨리의 자산인 컨테이너는 프랑스의 리스회사에 팔렸다
그러나 C&중공업의 계열사인 신우조선해양의 경우 보유 주식 전량을 시장에 내놓았지만 아직 매입자를 찾지 못하는 등 경기 침체가 가속화하면서 자구 노력이 그다지 진척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채권단이 채권금융기관 공동관리절차 개시를 의결권 비율 90%의 찬성으로 가결해 내년 2월13일까지 채권 행사를 유예함에 따라 C&중공업은 몸집 줄이기를 통한 유동성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채권단도 자산 매각 등을 위해 다각도로 공조에 나설 것이 확실시 되기 때문에 자구책 실행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채권단은 또 외부전문기관에 자산, 부채 실사와 계속기업 가능 여부에 대한 평가를 의뢰해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정상화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며 추가 자산 매각 뿐 아니라 인력 감원 등 C&중공업 회생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C&그룹 관계자는 "채권단의 결정을 환영하며 향후 실사 및 경영정상화 방안 수립에 적극 협조에 빠른 시일에 회사가 정상화되도록 하는데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C& 중공업이 채권금융기관에 지원 요청한 긴급운영자금 150억원과 시설자금 1천450억원과 8억7천500만달러의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이 결정되지 않아 C&그룹의 회생을 장담하기는 시기 상조로 보인다.

채권단은 C& 중공업이 채권금융기관에 요청한 긴급운영자금 150억원 지원에 대해서는 1주일내로 수용 여부를 결정하고 시설자금과 RG발급은 외부 전문기관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채권금융기관협의회에서 지원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C&중공업의 워크 아웃 개시로 인해 협력업체들의 매출 감소 등 피해 확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우리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한 C&중공업은 작년 기준으로 매출 1천250억원에 370명의 인력을 두고 있다.

채권단이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해 자산 매각이나 사업영역 축소 등 어떤 식으로든 광범위한 구조조정이 단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200여개에 달하는 협력업체들의 경우 매출 감소로 인한 인력 감원을 비롯해 최악의 경우 도산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또 1차 협력업체들과 연관을 맺고 있는 2, 3차 협력업체들에게도 피해가 확산돼 전남 경제권이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비해 아파트 계약자는 큰 피해가 없을 전망이다.

C&우방의 워크아웃이 개시됨에 따라 일부 입주 지연은 예상할 수 있지만 대체로 정상적인 공사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회사측은 보고 있다.

대한주택보증에 따르면 현재 C&우방이 공사중인 아파트는 5개 단지로 이중 분양보증 대상은 총 1천594가구에 이른다.

경기 화성군 향남택지지구에 짓고 있는 우방 유쉘(514가구)은 올 연말에 입주하고, 경북 구미시 신평동 아파트(123가구)는 내년 2월말 준공 예정이다.

경남 김해 율하(786가구) 사업장이 2010년 2월말, 경북 구미시 신평동(63가구)은 내년 2월말, 대구 수성구 수성동(108가구)은 내년 7월말 입주 예정이다.

관급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도 큰 무리 없이 공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김범수 기자 bumsoo@yna.co.kr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