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증권사 박선욱 연구원은 "급속히 진행되는 경기침체와 상대적으로 더딘 유동성 흐름 사이에서 호재를 찾아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통화정책의 시차를 감내할 시간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결국 정부정책의 내용과 강도"라고 설명했다.
10월 대폭락장 이후 주요국 증시가 반등한 것도 기준금리 인하와 경기부양책 같은 정부정책과 낙폭 과대에 따른 되돌림 때문이었다는 분석이다.
한국과 미 증시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짧은 반등 후 약세를 면치 못하는 것은 2001년 테러사태 이후 기준금리 인하 후 통화정책의 효과가 실물경제 회복에까지 나타나는데 시일이 걸렸던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박 연구원은 밝혔다.
그는 "향후 정부정책 효과는 채권시장 안정펀드를 통한 직접 금융시장의 경색 해소가 우선 관건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실물경제로 유동성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약세는 불가피하겠지만 그 사이 추가 금리인하와 재정지출 확대 등의 정부정책 효과는 단기적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