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캐피탈 회사들을 지원하기로 한데 대해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 보도에 박병연기자입니다. 최근 은행과 투신권으로부터 자금을 끌어오기 어려워지면서 자금회전에 어려움을 겪었던 캐피탈업체들이 한시름 놓게 됐습니다. 정부가 신용등급이 우수한 캐피탈채를 고금리로 매입해 주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캐피탈사 지원을 놓고 시장의 반응은 냉담합니다. 최근 몇 년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캐피탈사들이 난립한데다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부실 우려가 있는 상품에 무리하게 투자했던 업체도 다수 포함돼 있기 때문입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캐피탈 회사만 50개사에 이르고 있고, 신한캐피탈 등 일부 회사들은 PF 비중이 전체 자산의 20%를 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에선 정부가 고객 돈을 맡아 관리하는 은행이나 증권, 보험과는 차원이 다른 캐피탈 회사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지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캐피탈회사는 청산되더라도 대출채권을 다른 기관에서 인수해 가면 되기 때문에 금융시장이 미치는 충격이 제한적인 만큼,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하다는 이야깁니다. 이에대해 캐피탈업계는 출자전환을 통한 공적자금 지원도 아니고 일시적인 유동성 공급을 두고 도덕적 해이 운운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캐피탈업계 관계자 - 무빙백 “저축은행처럼 연체율이 14%에 이르는 회사의 채권을 사주면 문제가 되겠지만 캐피탈사들은 부실 위험이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크게 비난받을 만한 사항은 아닌 것 같습니다.” 또 업계가 요구하는 것은 캐피탈채를 새로 사달라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 기존에 갖고 있던 1조5천억원 규모의 캐피탈채를 만기연장해 달라는 것이기 때문에 재정에도 큰 부담이 가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정부가 무리하게 캐피탈채를 새로 매입하기보다는 업계가 요구하는 데로 우량채권에 대해서는 만기를 연장해 주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이 재정지출은 줄이면서 효과는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란 이야깁니다. WOW-TV NEW 박병연입니다. 박병연기자 by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