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국의 외환보유액(2397억달러,9월 말 기준)이 일시적인 국제수지 불균형 보전이나 외환시장의 지나친 변동성을 해소하기에 충분할 뿐 아니라 대외채권을 담보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적정 외환보유액 개념이 상황에 따라 다르고 해석도 제각각이어서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가 6일 배포한 '외환보유액 적정성 여부 분석'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2397억달러로 지난해 말(2622억달러) 대비 225억달러 줄었다. 유가와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국제수지가 악화된 데다 글로벌 신용경색으로 시장 개입에 보유액을 써야 할 상황이 많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남아 있는 금액만 따져도 세계 6위권으로 외환보유액을 쌓는 목적에 비춰볼 때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에 대한 민간의 우려가 지나쳐 자기 실현적 위기를 자초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위험하다'는 얘기가 과장돼 진짜 위기가 올지 모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의 우려는 쉽사리 불식되지 않고 있다. 외환보유액에서 유동외채 2223억달러(6월 말 기준)를 제하고 나면 170억달러밖에 남지 않는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일본 싱가포르 홍콩 독일 등도 외환보유액을 초과하는 단기외채(유동외채의 일부분)를 지고 있지만 외환보유액 부족 논란이 일고 있지 않다"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지나친 우려"라고 반박했다.

은행 기업 등 민간부문 전체가 부도로 상환능력이 '제로(0)'가 되는 상황을 상정하거나 외환위기 당시의 단기외채 차환(roll over) 비율도 32%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푼도 남김 없이 갚아야 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적정 보유액을 따지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얘기다.

이와 더불어 상환 부담이 있는 외채가 1600억달러로 이를 제외한 실제 가용외환보유액은 800억달러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정부는 "1년 내 만기가 오지 않는 장기외채까지 더해서 계산한 것"이라며 "지나친 걱정"이라고 평가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