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우 금융위원장이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국내 증시 불안과 관련,"투자심리 안정 및 안정적 유가증권 수요 확충을 위해 장기 보유 주식ㆍ채권형 펀드에 대한 세제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전 위원장은 이날 한나라당 최고ㆍ중진연석회의와 국회 정무위원회에 참석해 '미국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영향 및 대응 방안'을 보고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금융위는 장기 펀드투자에 대해 세제지원을 한다는 원칙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합의했으며,장기펀드투자 금액의 일부를 소득공제하거나 이자소득세ㆍ배당소득세를 감면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외환시장 안정화 방안과 관련,"외화 유동성 확보를 위해 우량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담보부채권인 커버드본드 발행 지원,공기업을 통한 외자 유치,해외 IR(투자설명회) 추진 등 정책적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AIG의 유동성 악화에 대해서는 "향후 국내 보험계약자 보호 등을 위해 일일 자금 동향을 밀착 파악하는 한편,필요시 국내 자금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감독관 파견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전 위원장은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가 후반전에 본격적으로 접어들었다"며 "시장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거칠 수밖에 없는 고통"이라고 말했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에 출석해 국내 금융사들의 외채 발행과 관련,"지금까지는 금리와 기간이 문제였지만 앞으로는 유동성 자체도 문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외국인 투자자의 한국 시장 이탈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가능한 한 외평기금을 확대해 위기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주택담보대출 문제에 대해서는 "저축은행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등은 국토부와 협력해 여러 장치를 이미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전 위원장도 "건설업계와 관련해서는 미분양 아파트 대책 등 조만간에 금융지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