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해안에 밀려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소외받아온 동해안 개발사업이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태백산맥에 가로막혀 전국에서 가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으로 꼽혀온 동해안에 각종 사회간접자본 투자와 산업 및 관광단지 조성 사업 등 대형 개발 사업들이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동해안은 최근 발효된 '동서남해안권발전 특별법' 및 포항의 자유구역 지정(대구ㆍ경북지식경제자유구역) 등과 맞물리면서 새로운 호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동해안에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경북도는 관광ㆍ물류ㆍ자원 개발을 위한 해양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독도 영유권 강화 활동을 벌이는 등 해양시대 개척에 나서고 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상주~안동~영덕을 연결하는 동서 6축 고속도로 기본설계 완료에다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연결하는 동해중부선을 착공하고 국도 7호선(포항~울진) 4차로 확장이 끝나는 2020년에는 동해안이 한국 경제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동해안권 종합개발계획 가시화=경북도와 강원도 울산시 등 동해안권 3개 광역지방자치단체는 공동으로 '동해안권 종합개발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의 근거인 '동서남해안권발전 특별법'도 지난 5월 발효됐다.

6월26일에는 동해안권 3개 광역지자체들이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전초 작업으로 '동해안권 발전 종합계획 기본구상 용역'을 7월 중 발주하기로 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이들 3개 시ㆍ도는 각 지자체의 중점 추진 사업으로 울산 18조원,경북 69조원,강원 50조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제출했다.

이융재 경북도 균형개발과장은 "3개 지자체가 선정한 용역기관이 사업의 중첩 부분을 조정하고 국가 정책 등을 고려,사업 우선 순위를 정한다"면서 "특히 공통ㆍ개별 사업으로 나눠 동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안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동해안권 3개 지자체는 모두 14개 사업을 공통 사업으로 선정해 국비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 규모는 42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공통 사업으로는 △부산~울산~포항~강원 고성 간 동해안 고속도로(407㎞) 건설 △국도 7호선 4차로 조기 완공(501.1㎞) △남북 6축 고속도로(양구~영월~청송~영천) 조기 건설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동해중부선 철도 부설 △환동해 에너지 벨트 조성 △동해안 해양 크루즈 사업 △환동해 신소재 산업 클러스터 조성 △동해안 광역관광벨트 조성 등이 선정됐다.

◆동해안 핵심 지역으로 다시 태어나는 경북=동해안 개발에서 가장 많은 사업을 준비 중인 경북도는 동해안에 인접한 포항ㆍ경주ㆍ영덕ㆍ울진ㆍ울릉 등 5개 시ㆍ군 사업으로 150개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총 사업비만 69조2950억원 규모에 이른다.

△영일항만 조기 건설(포항,부두 15선석) 1조5217억원 △영일대교ㆍ해상도시 건설(포항,연장 11㎞,230만㎡) 3조5000억원 △국제과학 비즈니스벨트 조성(포항 지곡동) 2조7600억원 △생명과학연구단지 조성(경주,200만㎡) 3조2000억원 등이 대표적인 사업으로 꼽히고 있다.

홍철 대경연구원장은 "3개 지자체들이 경합 사업에 대해 용역기관에 우선 순위 결정을 위임하기로 합의했으나 계획 수립 과정에서 지자체 간 눈에 보이지 않는 경쟁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신경원 기자 shi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