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해' 받는 통신ㆍ정유..대표주 SK 수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동통신과 정유업계가 정부의 압박에 곤혹을 치르고 있다. 특히 SK그룹은 두 업종에서 모두 대표기업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힘든 시절을 보내고 있다.
이동통신의 경우 이명박 정부가 출범 이전부터 통신비를 서민 부담 경감의 대표적 부문으로 지목하면서 시름을 놓을 날이 없다.
연초 논란이 뜨거웠던 '통신비 20% 인하' 공약이 업계 자율 경쟁을 통한 추진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한숨 돌리는가 했더니, 물가 상승폭이 커진 최근에는 여당과 감사원까지 나서 요금체계의 인위적 개선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한나라당과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1일 기초생활수급자의 휴대폰 기본료를 전액 면제하고 35%였던 통화료 할인 혜택을 50%로 높이는 한편 차상위계층도 요금의 35%를 감면해 주기로 했다.
이어 감사원은 이동통신 통화료 정산은 0.1초 단위로 집계하는데 요금을 부과할 때는 10초 단위로 계산해 더 많은 요금을 내게 한다며 방통위에 개선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11초를 통화해도 20초 요금을 매겨 8000억원 가량의 추가 수입을 챙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F, LG텔레콤)는 미국(1분)과 OECD 7개국(30초) 등 해외와 국내 유선전화(30초, 1분, 3분)는 이동전화보다 더 큰 과금 단위를 적용하고 있으며, 과금 단위 개편은 소비자 불편과 혼란을 초래한다며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동통신업은 주파수를 정부에서 임대해 쓰는 태생적 사업환경 때문에 정부 입장에서 손쉽게 칼날을 들이댈 수 있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처럼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달리 주가는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13일 오후 LG텔레콤이 외국계 매도세가 몰리며 3%대 하락세이지만, KTF는 되레 3%대 오름세이며 SK텔레콤은 보합세다. 지난 12일 KTF의 8%대 하락도 외국인 매도 물량이 몰린 수급상 이유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정부의 압박이 이미 반영된 악재이며 현 주가 수준이 워낙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SK텔레콤의 경우 올 들어 25% 이상 하락한 상태다.
진창환 굿모닝신한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동통신주 가격이 바닥권에 근접해 있고 시장에서는 정부의 개입이 있을 것이란 예상을 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률적인 기본료 인하는 근거가 뚜렷하지 않아 과금 단위 개선으로 정부가 방안을 모색하는 것 같다"며 "지난해 말 이후 몇 차례 요금 인하를 해 왔기 때문에 과금 체계 개선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만약 현실화할 경우 주가에 또 한번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가 부담 경감의 1차적 타깃이 되는 정유업계 역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3월 경쟁 강화를 통한 가격 인하를 위해 석유제품 수입 관세율을 낮춰 정유사를 옥죈 바 있는 정부는 최근 보다 강도높은 고유가 대책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주유소의 상표표시제(폴사인제)를 폐지하고 정유사-주유소 간 배타적 공급계약을 금지하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가 나서 정유사의 우월적 지위 남용이나 가격 담합 여부를 조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유업 대표주인 SK에너지 주가는 올 들어 38% 가량 급락했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
이동통신의 경우 이명박 정부가 출범 이전부터 통신비를 서민 부담 경감의 대표적 부문으로 지목하면서 시름을 놓을 날이 없다.
연초 논란이 뜨거웠던 '통신비 20% 인하' 공약이 업계 자율 경쟁을 통한 추진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한숨 돌리는가 했더니, 물가 상승폭이 커진 최근에는 여당과 감사원까지 나서 요금체계의 인위적 개선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한나라당과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1일 기초생활수급자의 휴대폰 기본료를 전액 면제하고 35%였던 통화료 할인 혜택을 50%로 높이는 한편 차상위계층도 요금의 35%를 감면해 주기로 했다.
이어 감사원은 이동통신 통화료 정산은 0.1초 단위로 집계하는데 요금을 부과할 때는 10초 단위로 계산해 더 많은 요금을 내게 한다며 방통위에 개선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11초를 통화해도 20초 요금을 매겨 8000억원 가량의 추가 수입을 챙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F, LG텔레콤)는 미국(1분)과 OECD 7개국(30초) 등 해외와 국내 유선전화(30초, 1분, 3분)는 이동전화보다 더 큰 과금 단위를 적용하고 있으며, 과금 단위 개편은 소비자 불편과 혼란을 초래한다며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동통신업은 주파수를 정부에서 임대해 쓰는 태생적 사업환경 때문에 정부 입장에서 손쉽게 칼날을 들이댈 수 있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처럼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달리 주가는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13일 오후 LG텔레콤이 외국계 매도세가 몰리며 3%대 하락세이지만, KTF는 되레 3%대 오름세이며 SK텔레콤은 보합세다. 지난 12일 KTF의 8%대 하락도 외국인 매도 물량이 몰린 수급상 이유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정부의 압박이 이미 반영된 악재이며 현 주가 수준이 워낙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SK텔레콤의 경우 올 들어 25% 이상 하락한 상태다.
진창환 굿모닝신한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동통신주 가격이 바닥권에 근접해 있고 시장에서는 정부의 개입이 있을 것이란 예상을 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률적인 기본료 인하는 근거가 뚜렷하지 않아 과금 단위 개선으로 정부가 방안을 모색하는 것 같다"며 "지난해 말 이후 몇 차례 요금 인하를 해 왔기 때문에 과금 체계 개선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만약 현실화할 경우 주가에 또 한번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가 부담 경감의 1차적 타깃이 되는 정유업계 역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3월 경쟁 강화를 통한 가격 인하를 위해 석유제품 수입 관세율을 낮춰 정유사를 옥죈 바 있는 정부는 최근 보다 강도높은 고유가 대책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주유소의 상표표시제(폴사인제)를 폐지하고 정유사-주유소 간 배타적 공급계약을 금지하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가 나서 정유사의 우월적 지위 남용이나 가격 담합 여부를 조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유업 대표주인 SK에너지 주가는 올 들어 38% 가량 급락했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