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총수 지분 많을수록 경영성과 높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연 "의사결정 속도가 총수 견제보다 중요"
기업 총수가 가지고 있는 지분의 비율이 높을수록,사외이사 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경영 성과가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지배구조 개선 차원에서 진행한 기업 총수에 대한 견제,사외이사 비율 확대 등의 재벌 정책이 기업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7일 명지대 조동근 교수와 변민식 겸임교수가 공동으로 집필한 '기업의 소유.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2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배주주 지분율과 기업가치(ROA.총자산이익률)는 '역(逆) U자' 형태로 나타난다.
일정 한도까지는 지배주주 지분율이 높아질수록 기업의 성과가 좋아진다는 의미다.
기업의 수익률을 극대화시키는 지배주주 지분율은 50% 전후(49~51%)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기업 지배주주의 평균 지분율은 22%로 조사됐다.
사외이사도 기업의 경영에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회귀분석 기법으로 사외이사의 비율과 ROA를 비교해본 결과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동근 교수는 "기업 총수의 힘이 강한 기업은 의사결정의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며 "연구 결과 소유권 이상의 의결권 행사가 경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근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은 학습조직으로 끊임없이 진화한다"며 "외환위기 이전의 시각과 잣대로 현재의 기업을 재단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기업 총수가 가지고 있는 지분의 비율이 높을수록,사외이사 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경영 성과가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지배구조 개선 차원에서 진행한 기업 총수에 대한 견제,사외이사 비율 확대 등의 재벌 정책이 기업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7일 명지대 조동근 교수와 변민식 겸임교수가 공동으로 집필한 '기업의 소유.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2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배주주 지분율과 기업가치(ROA.총자산이익률)는 '역(逆) U자' 형태로 나타난다.
일정 한도까지는 지배주주 지분율이 높아질수록 기업의 성과가 좋아진다는 의미다.
기업의 수익률을 극대화시키는 지배주주 지분율은 50% 전후(49~51%)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기업 지배주주의 평균 지분율은 22%로 조사됐다.
사외이사도 기업의 경영에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회귀분석 기법으로 사외이사의 비율과 ROA를 비교해본 결과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동근 교수는 "기업 총수의 힘이 강한 기업은 의사결정의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며 "연구 결과 소유권 이상의 의결권 행사가 경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근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은 학습조직으로 끊임없이 진화한다"며 "외환위기 이전의 시각과 잣대로 현재의 기업을 재단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