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살리기와 실용주의를 내세운 이명박(李明博) 정부가 국민의 기대 속에 출범함으로써 산업화, 민주화에 이어 선진화로의 도약을 위한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25일 오전 국회 의사당에서 국내외 귀빈과 일반 국민 등 5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취임식을 갖고 임기 5년의 제17대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선진화의 길, 다 함께 열어갑시다'는 제목의 취임사에서 5대 국정 방향으로 ▽ 섬기는 정부 ▽ 경제발전 및 사회통합 ▽ 문화 창달과 과학발전 ▽ 튼튼한 안보와 평화통일 기반 조성 ▽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 인류공영 이바지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2008년을 새로운 60년을 시작하는 첫 해인 대한민국 선진화의 원년으로 선포한다"면서 "산업화와 민주화의 결실을 소중하게 가꾸고 풍요와 배려와 품격이 넘치는 나라를 향한 장엄한 출발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0년, 더러는 멈칫거리고 좌절하기도 했지만 이제 성취의 기쁨은 물론 실패의 아픔까지도 자산으로 삼아 다시 시작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이념의 시대'를 넘어 `실용의 시대'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이룩하는 데 나와 너가 따로 없고 우리와 그들의 차별이 없다"면서 "협력과 조화를 향한 실용정신으로 계층 갈등을 녹이고 강경 투쟁을 풀고자 한다"고 화합 속의 전진을 약속했다.

특히 "다음 60년의 국운을 좌우할 갈림길에서, 이 역사적 고비를 너끈히 넘어가기 위해서 국민 여러분이 더 적극적으로 변화에 나서 주실 것을 요청한다"면서 "어렵고 고통스럽더라도 더 빨리 변해야 하며 그 방향은 개방과 자율, 창의"라고 강조했다.

경제 살리기와 관련해서는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더 활기차게 성장하고 더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각종 규제의 혁파와 불필요한 정부 업무의 민간 이양, 공공부문 경쟁 도입, 세금 감면, 기업인 투자 촉진을 위한 시장과 제도적 환경 개선, 노사문화의 자율적 개선, 중소기업의 성장 촉진,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국부 확대, 농림수산업의 경쟁력 제고 등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주택은 재산이 아니라 생활의 인프라"라며 "주거 생활의 수준을 높이고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는 주거복지정책을 적극 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새로운 외교 지표로는 `글로벌 외교'를 내세우고 "더 넓은 시야, 더 능동적 자세로 국제사회와 더불어 함께 하고 교류할 것"이라며 "미국과는 전통적 우호관계를 미래지향적 동맹관계로 발전, 강화시키고 전략적 동맹관계를 굳건히 해 나가고 일본, 중국, 러시아 등과는 협력관계를 강화해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북 관계에 대해 "이념의 잣대가 아니라 실용의 잣대로 풀어가겠다"면서 "`비핵ㆍ개방ㆍ3000 구상'에서 밝힌 것처럼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의 길을 택하면 남북 협력에 새 지평이 열릴 것"이라고 선(先) 북핵 폐기를 요구했다.

또 "남북의 정치 지도자는 어떻게 해야 7천만 국민을 잘 살 게 할 수 있는가, 어떻게 해야 서로 존중하면서 통일의 문을 열 수 있는가 하는 생각들을 나눠야 한다"면서 "이런 일을 위해서라면 남북 정상이 언제든지 만나서 가슴을 열고 이야기 해야 하며 그 기회는 열려 있다"고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개방된 자세를 취했다.

이 대통령은 "교육 현장에 자율과 창의, 경쟁의 숨결을 불어넣어야 한다"면서 교육 개혁의 중요성을 피력한 뒤 과학기술의 창의적 역량 확대, 미래지향적 국토 구조 개편 및 친환경ㆍ친문화적 기조 유지, 환경친화적 정책 추진, 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문화 강국 기반 공고화 등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소모적 정치 관행과의 과감한 결별을 강조하면서 "여야를 넘어 대화의 문을 활짝 열어 국회와 협력하고 사법부의 뜻을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의 시대적 과제, 대한민국 선진화를 향한 대전진이 시작됐다"면서 "한강의 기적을 넘어 한반도의 새로운 신화를 향해 우리 모두 함께 나가자. 저, 이명박이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취임식에는 전직 대통령과 3부 요인을 비롯, 이슬람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남바린 엥흐바야르 몽골 대통령, 훈센 캄보디아 총리,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총리,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외무담당 국무위원, 빅토르 주프코프 러시아 총리 등 외국의 주요 경축사절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식 이후 이들 사절들과 양자 회담, 면담을 통해 외교 활동을 벌였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