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 부채가 2000년 이후 약 4.5배 늘었으며,이 빚의 대부분이 부동산 구입에 사용된 것으로 분석됐다.

전승훈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과 임병인 충북대 교수는 '2000년 이후 가구 자산구성 및 자산불평등도 변화 분석' 논문에서 "우리나라 한 가구의 평균 총 자산은 2000년 1억1250만원에서 2006년 2억8112만원으로 149.9% 증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자산 세부 항목별로는 부동산평가액이 8138만원에서 2억1604만원으로 165.5%,주택 보증금을 포함한 저축 총액이 3112만원에서 5745만원으로 84.6% 각각 늘었다. 특히 부동산 중에서도 거주에 필요한 주택자산 증가율은 110.9%에 그친 데 반해 자산 증식을 목적으로 보유한 '주택 이외 부동산'의 증가율은 323.3%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중 가구당 총 부채는 877만원에서 3948만원으로 350.2%나 급증해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의 증가율은 133.0%에 그쳤다.

두 교수는 논문에서 "많은 가구들이 부동산을 중심으로 자산 증식에 나섰고,가구 평균 총부채 증가율이 경상소득 증가율의 약 3배에 이른다는 점은 2000년 이후 자산 증가의 상당 부분이 차입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부채 이자 상환 부담 증가는 앞으로 가계 유동성 문제로 발전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빚을 내서라도 자산을 불린 결과 자산 분배 상황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자산 5분위 배율의 경우 2000년 47.2에서 2006년 46.6으로 낮아졌고,순자산 5분위 배율 역시 642.5에서 96.6으로 떨어졌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