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여파로 파산 위기에 처한 영국 모기지은행 노던록을 국유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융시장 신용경색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인철 기자입니다. 영국정부가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의 영향으로 파산 우기기에 처한 영국 모기지은행 노던록을 국유화하기로 했습니다. 영국 정부가 부실기업을 국유화한 것은 지난 1970년대이후 처음입니다. 앨리스테어 달링 영국 재무장관은 “ 노던록을 민간에 매각하려던 다섯 달 간의 시도를 포기하고 국유화하기 위한 긴급 입법을 추진할 예정” 이라고 밝혔습니다. 달링 재무장관은 “노던록이 무너지면 그 여파가 금융 전반으로 확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며 국유화 조치의 불가피성을 역설했습니다. 그는 또한 “이번 국유화 조치는 잠정적으로 노던록이 정상화되면 다시 매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디다. 영국 5위 규모의 모기지 은행인 노던록은 지난해 서브프라임 파산 위기에 처했을 당시 중앙은행으로부터 250억파운드의 긴급 구제금융을 받은바 있습니다. 이후 경영정상화를 위해 버진그룹이 이끄는 컨소시엄과 노던록 은행 이사진 등 두 곳을 상대로 협상을 벌여왔지만 최종 타결에는 실패했습니다. 이런 영국 정부의 노던록 국유화 선언에 대해 노던록 주주들은 정부의 보상액수가 적다는 이유로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의 고육지책에도 불구하고 바클레이즈, 소시에떼 제너널과 BNP파리바 등 유럽계 투자은행들의 모기지부실 규모는 눈덩이처럼 확대되고 있어서 유럽금융권의 신용위기 파장은 여전히 잠재된 불씨로 남아있습니다. 이인철기자 icle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