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22일(현지시간) 기준금리와 재할인율을 각각 0.75%포인트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금리인하와 경기부양책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잦아들지 않고 있다.

FRB와 미 행정부도 각각 추가 금리인하와 경기부양책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당장 오는 30일 열리는 정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하가 추가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월가 전문가들은 시장 불안을 잠재우고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상반기 중 기준금리를 연 2.5%로 1.0%포인트 추가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FRB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전격 인하함에 따라 뉴욕증시는 폭락을 모면했다.

그러나 반등에는 실패했다.

이 같은 현상이 FRB의 금리인하 조치의 효과와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글로벌 증시에 만연한 패닉(공포) 심리를 진정시키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은 되겠지만 패닉을 야기한 근본 원인인 경기침체 우려감을 불식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관심은 오는 30일 열리는 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지 여부로 모아지고 있다.

대부분 시장참가자들은 0.25%포인트 추가 인하해야만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데이비드 그린로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30일 열리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야만 일정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선물시장에서도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70% 반영돼 선물가격이 형성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FRB의 전격적인 기준금리 인하 조치는 FRB의 관심이 인플레이션에서 경기침체 우려로 바뀌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조치라며 주택가격 하락과 주가 폭락이 신용경색을 강화하고 그것이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을 막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FRB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FRB는 이날 발표한 FOMC 성명서에서 "경제의 하강위험이 상당히 남아 있다"며 "필요하다면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내린 뒤 내놓은 성명서에서 "금리인하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자신감을 표명했던 것과는 사뭇 다른 태도다.

경기침체의 심각성을 FRB도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월가에서는 30일 FOMC뿐만 아니라 상반기 열리는 세 번의 FOMC에서도 기준금리를 크게 낮춰야 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웰스파고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스캇 앤더슨은 "30일과 3월 및 4월 예정된 FOMC에서 모두 0.75%포인트의 금리를 낮춰 기준금리를 연 2.75%로 떨어뜨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리먼 브러더스의 이코노미스트 드루 마투스도 "금융시장이 안정될 경우 FRB는 또다시 금리동결에 대한 유혹을 느끼겠지만 상반기까지 기준금리를 연 2.5%까지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CNBC가 이날 시장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상반기 중 금리가 연 2.5%까지 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부시 행정부가 내놓을 경기부양책도 확대돼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벤 버냉키 FRB 의장의 지적대로 금리정책과 재정정책이 함께 시행돼야 효과가 극대화되는 만큼 공격적인 금리인하와 함께 경기부양 규모도 늘리는 게 마땅하다는 지적이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지난주 발표한 1500억달러 규모 이상의 경기부양책을 현재로선 고려하고 있지 않지만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해 경기부양책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렇게 보면 FRB의 전격적인 0.75%포인트 금리인하는 경기침체를 막기 위한 조치의 시작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된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