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정부를 기치로 내건 새 정부가 한국 경제 청사진을 어떻게 그려낼지 주목된다.

무리한 부양책을 동원하지 않고도 경제성장률 7%를 이끌어 내 약속한 만큼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미국 서브프라임(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충격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정치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기업 최고경영자(CEO) 출신 대통령이 나온 만큼 올 한 해 내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방안에 대한 논란이 거듭될 전망이다.

그런 만큼 기업인들도 어느 해보다 바쁘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새해 가장 큰 정치행사는 오는 4월9일 치러지는 총선이다.

다여(多與) 다야(多野)의 구도로 치러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선거결과에 따라 정치권의 구도 재편은 물론 새 새정부의 순항여부도 결정된다.

이번 선거의 큰 변수는 두 가지다.

대선 후 불과 4개월여 만에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에서 한나라당에 압승을 안겨준 대선의 표심이 그대로 이어질지와 연초 실시되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를 대상으로 한 특검 수사의 향배다.

우선 한나라당의 '안정론'과 정권을 내준 범여권의 '견제론'이 총선전에서 정면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안정의석을 확보해야 새정부의 각종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한나라당의 논리와 대통령과 지방권력에 이어 국회까지 집권세력이 장악하면 문민독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범여권의 논리 중 국민이 어느 편의 손을 들어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특검 수사는 어떤 결론이 나든 선거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명박 당선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검찰 수사와 마찬가지로 무혐의로 판가름 난다면 대통합민주신당 등 특검법을 밀어붙인 현 범여권은 거센 역풍에 직면해 대선에 이어 총선에서도 패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일부 혐의가 사실로 드러나면 정국 혼란이 가중되면서 총선정국의 주도권을 현 범여권이 장악하게 돼 총선에서는 승리할 개연성이 다분하다.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하면 새 정부의 국정운영이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신당 등이 이길 경우 새정부는 초반부터 거대 야당과의 힘겨루기를 벌어야 하는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