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컨설팅펌 로펌 금융회사와 같은 지식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이 여전히 D학점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식서비스 업체의 절반 이상이 향후 사업전망을 불투명하게 보는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지식서비스 관련기업 334개사를 대상으로 '국내 지식서비스산업 경쟁력 실태 및 애로요인'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은 미국 등 선진국을 100으로 봤을 때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을 67.0점으로 평가했다.

국내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이 미국 등 서비스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18.0%에 불과했고,나머지 82.0%는 선진국 수준에 비해 '다소 열세(64.9%)' 또는 '매우 열세(17.1%)'라고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특히 컨설팅,연구개발(R&D),경영지원 등 제조업과의 관련성이 큰 사업 서비스업의 경쟁력이 59.8점으로 가장 낮게 평가됐다.

영화·공연·레저 등 문화 서비스업도 64.9점으로 평균을 밑돌았다.

반면 의료(73.0점),방송·통신(70.4점),금융(70.3점) 등은 상대적으로 선진국과의 경쟁력 격차가 적었다.

기업들은 국내 지식서비스산업이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자본력(27.7%)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R&D 등 서비스 개발능력(20.1) △브랜드 파워(18.9%) △서비스 품질(12.0%) △가격 경쟁력(10.5%) 등의 순이었다.

실제 국내 지식서비스업은 이미 성장과 고용 측면에서 제조업 못지않은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지만 미국 등 선진 서비스 기업들과 견줄 수 있는 글로벌 기업을 국내에서 찾아보기는 힘든 상황이다.

미국과 비교할 때 사업체당 종업원수는 3분의 1,종업원 1인당 평균 매출액은 2분의 1 수준에 머물러 있다.

영세한 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보니 투자여력이 적고 전반적인 생산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응답 기업들은 자사의 주력 서비스가 미래 사업전망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53.5%가 '불투명'하다고 답했다.

업체들은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핵심인력 확보 및 양성(28.4%)' '신규사업 진출모색(22.3%)''자본 확충 등 규모 확대(19.2%)''R&D 등 생산성 향상(8.2%)'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