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15일 최근의 외채 증가와 관련,"금융회사별 자산구성별 쏠림 현상이 없는지를 분석해 필요시 대응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권 부총리는 이날 재경부 간부회의에서 "일부에서 최근 외채 증가 속도가 빠르고 단기 외채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최규연 재경부 홍보관리관이 전했다.

한국의 대외 채무는 2005년 말 1898억달러에서 작년 말 2634억달러,올해 6월 말 3111억달러로 급증했으며 특히 상환 기간이 1년 미만인 단기 외채 규모는 2005년 말 659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1136억달러,올해 6월 말 1379억달러로 1년반 만에 두 배 이상 늘었다.

국내외 은행들의 외화 차입이 최근에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외채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권 부총리는 이에 대해 "최근의 외채 증가는 경제 규모 확대와 조선 등 수출업체들의 선물환 매도에 따른 금융회사들의 포지션 관리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과거 외채 증가와 성격이 다르고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를 감안하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제 신용평가회사 S&P의 오가와 다카히라 아시아 국가신용평가 담당 애널리스트가 "금융권의 차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평가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