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금융 수출이다] 中금융시장 성장잠재력 아직 높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금융회사가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지역은 중국이다.
그만큼 성장잠재력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재정경제부는 최근 '금융회사 중국 진출 보고서'를 통해 중국 진출의 기회가 아직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금융회사의 총 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60조위안으로 한국의 3.7배에 달한다.
하지만 아직 외국 금융회사가 중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아 추가 진출의 기회가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국내 금융회사들이 진출할 만한 지역으로는 하얼빈 창춘 선양 등 동북 3성 지역과 내륙 소비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쓰촨성의 청두가 꼽혔다.
보고서는 중국이 2001년 12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금융시장에 대한 개혁과 개방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외국 금융회사의 중국 진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4대 국유은행의 자본금 확충 및 상장 추진,금융자산관리공사 운영 등으로 진입상 위험도 상당 부분 감소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은행의 경우 외자은행의 총 자산 비중이 1.8%이고 외국계 생명보험 회사와 손해보험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5.9%와 1.2%로 외국 금융회사 비중이 크지 않아 추가 진출의 기회가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영역별로는 은행이 작년 말 외국 은행의 현지법인 설립과 위안화 소매영업 전면 허용 등 빠른 속도로 개방이 진행 중이지만 증권은 외국 증권사의 중국 내 단독 지점이나 별도 법인 설립은 아직 불가능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보험사의 경우 연평균 30%의 고속성장을 보이고 있는 상태로 작년 말 기준 전체 보험사 87개 중 외국계가 41개로 개방 정도도 양호한 상황이다.
하지만 은행업에서는 중국 내 현지법인 지점 설치시 실제 인·허가에 6개월이 소요되는 등 절차가 매우 늦은 편이다.
증권사도 적격 외국 기관투자자 요건이 타 금융업권에 비해 엄격하다.
보험사는 자동차보험 중 임의보험은 외국사가 영업할 수 있으나 책임보험에 대해서는 영업이 금지돼 있고 자산총액이 50억달러 이상이어야 손해보험사 지점을 설치할 수 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
그만큼 성장잠재력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재정경제부는 최근 '금융회사 중국 진출 보고서'를 통해 중국 진출의 기회가 아직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금융회사의 총 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60조위안으로 한국의 3.7배에 달한다.
하지만 아직 외국 금융회사가 중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아 추가 진출의 기회가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국내 금융회사들이 진출할 만한 지역으로는 하얼빈 창춘 선양 등 동북 3성 지역과 내륙 소비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쓰촨성의 청두가 꼽혔다.
보고서는 중국이 2001년 12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금융시장에 대한 개혁과 개방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외국 금융회사의 중국 진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4대 국유은행의 자본금 확충 및 상장 추진,금융자산관리공사 운영 등으로 진입상 위험도 상당 부분 감소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은행의 경우 외자은행의 총 자산 비중이 1.8%이고 외국계 생명보험 회사와 손해보험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5.9%와 1.2%로 외국 금융회사 비중이 크지 않아 추가 진출의 기회가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영역별로는 은행이 작년 말 외국 은행의 현지법인 설립과 위안화 소매영업 전면 허용 등 빠른 속도로 개방이 진행 중이지만 증권은 외국 증권사의 중국 내 단독 지점이나 별도 법인 설립은 아직 불가능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보험사의 경우 연평균 30%의 고속성장을 보이고 있는 상태로 작년 말 기준 전체 보험사 87개 중 외국계가 41개로 개방 정도도 양호한 상황이다.
하지만 은행업에서는 중국 내 현지법인 지점 설치시 실제 인·허가에 6개월이 소요되는 등 절차가 매우 늦은 편이다.
증권사도 적격 외국 기관투자자 요건이 타 금융업권에 비해 엄격하다.
보험사는 자동차보험 중 임의보험은 외국사가 영업할 수 있으나 책임보험에 대해서는 영업이 금지돼 있고 자산총액이 50억달러 이상이어야 손해보험사 지점을 설치할 수 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