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사회서비스 일자리가 24만9천개로, 올해의 20만1천개에 비해 4만8천개가 늘어난다.

관련 예산은 올해 1조2천945억원에서 내년에는 1조6천417억원으로 26.8% 증가한다.

사업별로는 아이돌보미 고용인원이 2천49명으로 올해의 799명에 비해 비해 2.6배로 늘어난다.

찾아가는 결혼이민자 서비스도 508명에서 2천320명으로 4.6배로 증가한다.

또 지역아동센터의 아동복지교사는 2천740명에서 3천740명으로 1천명이,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인은 1만1천명에서 1만2천500명으로 1천500명이 각각 증가한다.

방과후학교 고용인원은 내년에 1만3천350명으로 올해의 1만335명보다 3천15명이 늘어나고 청소년 방과후 활동지원(아카데미)은 900명에서 1천200명으로 300명이 증가한다.

산림 서비스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은 4천30명에서 5천331명으로, 생태우수지역 관리인은 528명에서 1천104명으로 각각 늘어난다.

문화관광 해설사는 500명이 늘어나는 1천900명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사회적 일자리의 양적 확대 외에도 질적 향상을 꾀하기로 했다.

또 주요 일자리사업의 고용기간을 12개월로 늘려 고용의 안정성을 높이기로 했다.

12개월 미만사업을 올해 22개에서 내년에는 7개로 줄인다는 것이다.

모든 사업에 대해 최저임금 이상으로 임금단가를 올리기로 했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월 78만8천원이고 시간당으로는 3천770원이다.

정부는 아울러 사회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아이돌보미 사업 종사자의 교육시간은 기존 40시간에서 60시간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산모신생아 도우미에는 1인당 16만원씩 별도의 교육예산을 반영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keun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