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4일 열리는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을 수행해 방북하는 특별수행원에 경제계 인사가 1명 추가된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19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1회 세계한인정치인포럼' 강연에서 "정상회담 수행원 규모가 공식수행원 13명과 특별수행원 48명, 일반수행원 89명 등"이라고 말했다.

당초 발표됐던 규모에서 특별수행원은 1명이 늘었고 일반수행원은 1명이 줄었는데 정부 당국자는 "경제계 인사 1명이 특별수행원에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되는 경제계 인사는 남북 경제협력사업에 관심이 높은 기업의 최고경영자로 알려져 있다.

민간인사들인 특별수행원 48명은 이에 따라 경제계 18명, 정치계 6명, 사회문화인사 21명, 여성 3명 등으로 구성되게 됐다.

이 장관은 "정상회담을 마치면 국회 보고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10월말께 남북관계발전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마련되는 5개년 계획은 당초 8월에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정상회담 관계로 늦춰지고 있다.

이 장관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통일을 위한 정치체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느냐'는 질문에는 "지금은 평화와 통일을 향해 가는 과정에 있으며 정치체제를 얘기하는 것은 너무 빠르다"면서 "그것은 좀 미뤄놓고 (지금은) 남북이 공존하고 협력하고 평화를 만들어 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장관은 "방북단에..(중략)..공연단이 함께 가게된다"면서 "우리 측이 주최하는 만찬에서 공연하게 될 것"이라고 말해 노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남측의 공연을 함께 관람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 계획은 초기에 추진됐다 백지화된 사안으로 확인됐다.

정부 당국자는 "너무 미미한 사안이어서인지 이재정 장관이 잘 몰랐다"고 해명했지만 정상회담을 앞두고 정부 내에서 의견교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