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서 클릭 한번에 신용장 받고

원산지증명 등 선적서류 따로 쓸 필요없어



중소 무역업체에 근무하는 유 과장은 출근과 함께 개인용 컴퓨터(PC)를 켜고 전자무역 사이트인 'U-트레이드 허브'에 접속한다.

수신함에는 밤 사이 미국 바이어가 보낸 신용장이 도착해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은행에 직접 가야만 받을 수 있던 서류가 온라인으로 전송된 것이다.

이젠 통관 서류를 작성할 차례.U-트레이드 허브를 활용하면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원산지증명서 등 수많은 선적 서류를 따로따로 작성할 필요가 없다.

상업송장만 작성하면 여기에 담긴 회사 정보 및 물품 정보를 활용해 다른 서류들의 공란까지 자동으로 채워지기 때문이다.

중복 입력할 필요가 없는 데다 오류가 생기면 적색 경고등이 켜지는 '신호등 시스템' 덕분에 실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모든 문서는 전자문서 보관서에 저장되는 만큼 원본을 분실할 염려도 덜게 됐다.

무역협회가 구축하고 있는 U-트레이드 허브가 주목받고 있다.

먼저 관심을 끄는 것은 인터넷 장터.물건을 사고 파는 '옥션'이나 'G마켓'과 이용 방법이 비슷하다.

그러나 화교상공회의소 등 70여개 해외 무역 유관 기관들과 연계된 데다 운영 업체(무역협회)와 보험(수출보험공사) 배송(DHL) 업체의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수출하고 싶은 상품의 각종 정보와 사진 등을 사이트에 올리기만 하면 전 세계 바이어들로부터 문의가 들어온다.

먼 미래에나 가능해 보이는 '꿈' 같은 사무 환경이지만 무역협회는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는 2010년께면 웬만한 국내 중소기업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풍경이 될 것"이라고 자신한다.

U-트레이드 허브란 무역업체 은행 해운사 등 무역과 관련된 각 기관의 시스템을 연동해 마케팅 상역 외환 통관 물류 결제 등 무역 전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2003년 구축에 들어가 현재 2단계 사업까지 마무리된 상태다.

지금도 U-트레이드 허브에 접속하면 신용장 업무,원산지 증명서 발급 등 상당한 수출입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U-트레이드 허브 시범 사업자로 선정돼 지난 2월부터 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아가방 관계자는 "전자신용장 서비스 덕분에 업무 효율이 높아지고 비용도 절감됐다"며 "은행에 갈 필요가 없는 데다 수수료도 기존 시스템보다 50%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3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는 내년 3월부터는 선하증권(BL)과 '네고' 업무가 추가돼 수출입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U-트레이드 허브를 통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년에 걸친 시범 운영을 거쳐 2010년부터는 20일 걸리던 업무처리 소요 기간이 5일로 단축될 것이란 게 무역협회의 설명이다.

U-트레이드 허브가 가져다 주는 경제 효과는 상상을 뛰어넘는 규모다.

무역협회는 무역 부대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연간 1조8000억원에 달하는 경제 효과가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 기업들의 무역 관련 부대 비용은 매출의 12% 수준으로 일본(9%)이나 미국(10%)에 비해 절감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

또 세계 최초로 무역 업무 전반을 아우르는 시스템이란 점에서 향후 전자무역 시장의 주도권을 한국이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내년 초 운영에 들어가는 차세대 e마켓 플레이스도 U-트레이드 허브 못지않은 경제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지금도 몇몇 업체가 e마켓 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신뢰도가 낮은 탓에 협상 대비 실제 거래 성사율은 10%에도 못 미치며 금액도 10만달러 이하가 대부분"이라며 "차세대 e마켓 플레이스는 무역협회의 신뢰도와 강력한 해외 네트워크를 통해 실질적인 무역 거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 e마켓 플레이스에는 70여개 해외 무역기관과 함께 재외동포재단,해외한인무역협회(OKTA) 등 전 세계 10만 동포 기업들도 참여한다.

무역협회는 이와 함께 무역 유관 기관들이 수집한 무역 통계,바이어 정보 등을 추려 조만간 다음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는 물론 휴대폰으로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까지 서울 삼성동 무역센터를 언제 어디서나 무역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U-시티'로 개발키로 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