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들이 좁은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넓은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는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 '쏠림현상'이 걱정된다.

국내 금융회사는 '남이 가면 나도 간다'는 '양떼 근성'에 젖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베트남 등에서는 이미 국내 금융회사 간 출혈경쟁이나 나눠먹기식 영업 행태가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김우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1~2년간 은행들의 해외진출 전략을 보면 중국 베트남 등 특정 지역으로 쏠리는 데다 대부분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이나 주재원을 상대로 하는 소매금융에 치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 감독당국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허용시 현지 투자기업과의 연계,부실채권 회수,인수·합병(M&A),신용카드 등 사전에 수익모델을 개발하도록 유도키로 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금융계는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붐이 자칫 외환위기 때의 뼈아픈 경험을 되풀이하는 일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과거 10여년 전 시중은행들은 우후죽순처럼 해외지점을 설치했다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부실만 떠안고 폐쇄한 경험이 있다.

금융당국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을 독려하되 리스크 관리를 대폭 강화키로 한 것은 이 같은 부작용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박대동 금융감독위원회 상임위원은 "금융회사 자체 리스크 관리 방안 강화뿐만 아니라 진출지역 금융회사 간 공조를 통해 정보 공유를 확대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위는 또 경제상황 규제 노사관계 등 각종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위는 특히 해외점포의 경영건전성 지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자본적정성을 비롯해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등을 평가하고 금융회사들이 '현지화 평가지표'를 개발토록 유도하고 이를 경영건전성 평가에 반영키로 했다.

또 적자점포와 종합평가 4등급 이하 등 부실점포를 상시 감시 대상 점포로 선정해 관리할 예정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