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7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퇴임후 `노무현 기념관'을 인제대에 건립키로 한 데 대한 일각의 비난과 관련, "대통령 트집잡기의 도가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청와대 홍보수석실은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 퇴임후 구상을 하는 것이 비판받아야 할 문제인가"라고 반문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청와대는 `현직 대통령이 재임중에 기념관 건립을 추진해 논란이 되고 있다'는 비판을 지적하면서 "뜬금없다.

돈을 모은 것도, 부지를 매입한 것도 아니고 설계도가 나온 것도 아니다.

현직 대통령의 영향력을 부당하게 행사한 적도 없다"며 "단지 이제 막 구상과 협의가 시작된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레이건, 부시, 클린턴 등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이 퇴임 이전 개별 재단이나 기록관 설립을 준비한 사례를 적시한 뒤 "대통령의 국정운영 경험은 국가적 자산이며 대통령 기념관은 단순히 개인을 기념하는 건축물이 아니다"라며 "기록이든, 국정운영 경험이든 이를 사회적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은 오히려 장려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어 `기념관 건립을 위해 확보한 정부예산 20억원이 무슨 명목으로 어디서 나왔는지 밝히라'는 한나라당 공세와 `기념관에 대한 정부 예산 지원을 가능케 한 대통령기록물 관리법이 통과된 지 11일만에 기념관 건립이 합의됐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거론하면서 "마치 기념관 건립을 위해 사전에 법안까지 면밀하게 준비했다는 투"라고 비판했다.

청와대는 "구체적인 계획도 협의도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슨 예산을 확보하겠는가.

예산을 국회도 모르게 `이미 확보'하는 게 가능하기나 한 일인가"라고 반문한 뒤 "너무 무책임한 정치공세"라며 "임기말 권력형 비리를 못 찾으니 아무 사안이나 시비를 거는 모양"이라고 비꼬았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