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토지를 매입하고 개발계획을 세우는 주택건설 시행사와 분양대행사가 분양가 상한제와 분양원가 공개 등을 앞두고 전전긍긍하고 있다.

수도권 땅값이 너무 올라있는 상황에서 오는 9월 분양가 상한제가 실시되면 땅을 주변 시세보다 높게 산 시행사들은 코너에 몰리게 되기 때문이다.

아파트를 지어 봤자 공사비도 건지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에 땅을 팔아 버리기 위해 투매에 나선 업체들도 많다.

하지만 이들 토지는 대부분 인ㆍ허가 절차를 아직 밟지도 못하거나 매입이 덜 끝나 아파트를 지을 만한 규모가 안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분양가 자율제에서 상한제로 바뀌는 과도기적인 상황에서 어쩌면 한번쯤 겪어야 할 '혼란'일 수도 있지만, 그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가 고스란히 해당 업체의 몫으로 돌아간다는 점이 문제다.

사업규모가 수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복합단지의 성격상 분양시기가 늦춰지면 이는 곧바로 업체의 사업자금 조달에 따른 막대한 금융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지난해 6월 천안시에서 아파트 3백여가구를 분양할 예정이었던 시행사의 한 관계자는 "분양가를 둘러싼 천안시와의 소송 문제로 분양이 반년 이상 늦춰지면서 금융비용이 40억 가까이 늘어났다"고 전하기도 했다.

금융권이 대출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는 것도 시행사들의 땅 투매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작년만 해도 시행사들은 사업계획을 보고 돈을 빌려주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형태로 금융회사에서 땅값을 빌릴 수 있었지만, 올해부터는 대출심사가 매우 엄격해져 추가 자금을 확보하기 어렵게 됐다.

대부분의 시행사가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몰린 상황에서 외부요인에 위축되지 않고 사업에 오히려 탄력을 붙이는 우량 기업들이 있다.

일손 놓은 지 오래된 시행업계에서 현장 마케팅 강화로 분위기를 다잡고 미래로 도약하는 알짜기업들이다.

--------------------------------------------------------------

지난 99년 설립된 덕진종합건설(주)(대표 김성은·사진)는 대기업에서 외면하는 소규모 임대아파트로 '틈새'를 공략한 케이스로 설립 초기부터 줄곧 '서민아파트' 건설에만 주력해 온 업체다.

'아무도 돌아보지 않는 새로운 분야에서 목표를 찾는다'는 김 대표의 경영소신에 의해서다.

10년 가까이 사업을 이어오며 주로 20평~25평 사이의 소형아파트를 집중 건립했고, 지방 중소도시에 무주택 서민을 위한 임대아파트를 중점적으로 세웠다.

현재 경남 거제도에 위치한 임대아파트 '덕진휴먼빌'의 1ㆍ2차 입주를 마치고 3차 시공에 들어간 상황. 이 밖에도 덕진휴먼빌 5차(경남 고성군 고성읍), 6차(경남 창녕군 남지읍), 7차(경남 거제시 아주동) 임대아파트 신축계획까지 촘촘히 세워둔 상태다.

"돈이 되지 않는 임대아파트 영역에서 지금과 같은 실적을 쌓을 수 있었던 것은 지역 금융권과 지자체 관계자들의 도움이 컸습니다. 저는 참 운이 좋은 사람입니다"

김 대표는 지난 83년부터 건설업계에 몸담은 정통파 건설인으로 지난해 '건설의 날' 행사에서는 건설교통부 장관상을 받기도 했다.

그는 16년간 일선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2004년부터 창신대학 건축디자인학과 겸임교수로 강단에도 서고 있는 김 대표는 후학 양성 외에도 각종 논문 발표와 저술 활동으로 '영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그의 향후 목표는 임대아파트 외에 도로, 항만, 교량, 하천, 학교, 관공서, 공장 등 기타 민간공사 및 관급공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 이 계획의 일환으로 올해 국가유공자 노후주택보수지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더불어 해외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

"지방 중소건설업체가 대기업과의 격차를 해소하고 건실하게 성장하려면 내부적인 노력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주택사업, 입찰제도 등 관련제도 개선과 부실ㆍ부적격업체를 과감히 퇴출시킬 수 있는 강력한 정부시책이 필요 합니다"

서민용 주택공급에 지나온 생(生)의 반을 소비한 '서민 CEO'의 한결같은 제안이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